X

1시간 만에 전신으로 퍼져···미세플라스틱 흡수 경로 알아내

강민구 기자I 2021.07.07 12:00:00

원자력의학원, 양전자방출단층촬영으로 경로 파악
전신으로 퍼진 방사성구리·폴리스티렌 확인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국내 연구진이 미세플라스틱의 몸속 흡수 경로를 확인했다.

한국원자력의학원은 김진수·강충모 박사 연구팀이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으로 이같이 알아냈다고 7일 밝혔다.

플라스틱 생산과 소비 증가로 많은 양의 플라스틱 추정 폐기물이 해양에 유입되며, 자외선이나 풍화에 마모된 5mm 미만의 미세플라스틱이 해양 생물에서 검출되고 있다.

한국원자력의학원 연구진의 모습.(오른쪽부터) 김진수, 강충모 박사.(사진=한국원자력의학원)
이를 섭취한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는 아직 걸음마 단계로 미세플라스틱의 흡수 경로, 작용 등에 대한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

연구팀은 0.2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플라스틱 폴리스티렌에 방사성동위원소 구리-64를 붙인 60마이크로그램의 방사성구리·폴리스티렌을 실험용 쥐에게 먹이고 PET 영상으로 48시간 동안 시간 경과에 따른 몸속 흡수 경로를 분석했다.

그 결과, 위와 장에는 24시간째까지 머무른 후 대부분 빠져 나가간 반면 간에는 초기 1시간째에 비해 48시간째에 5배 늘어났다.

또 쥐의 신체 기관을 빼내 쥐가 먹은 방사성구리·폴리스티렌에서 나오는 감마선을 감마 카운터로 측정한 결과, 1시간째부터 방사성구리·폴리스티렌이 전신으로 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미세플라스틱인 폴리스티렌에 방사성동위원소 구리-64 표지해 PET 기술로 한 번의 방사성구리·폴리스티렌 경구 투여만으로 미세플라스틱의 몸속 분포를 확인하고, 미세플라스틱의 인체 영향 관련 임상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김진수·강충모 박사는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는 미세플라스틱의 몸속 흡수 경로를 확인했다”며 “앞으로 미세플라스틱의 생체 독성 평가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핵의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더 저널 오브 뉴클리어 메디신(The Journal of Nuclear Medicine)’에 지난 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