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조환익 한전사장 “5년간 전기요금 큰 인상 없어”(종합)

김상윤 기자I 2017.10.23 13:17:19

[2017 국감]“전력 수급 감안시 인상 요인 적어”
"英원전 수출, 조만간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국내 원전 정책과 무관하게 수주 달성할 것"
"신고리5·6호기 손실보상, 한수원과 협의해"

23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거래소, 한전KPS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한국전력공사 조환익 사장이 개의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조환익 한국전력(015760) 사장은 “2022년까지 전력 수급 요인만 감안한다면 전기요금 큰 인상 요인은 없다는 데 동의한다”고 밝혔다.

조 사장은 23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한국전력 등 국정감사에 출석해 “2022년까지는 (원전 비중 축소 등을 감안한) 새로운 전력믹스로 인한 전기요금 변동요인은 크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 사장은 2022년까지 전력요금 인상 가능성은 상당히 낮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2022년까지는 기존 전력수급기본계획과 비교해 원전이 축소되는 부분이 적기 때문이다. 다만 그는 “개별소비세, 유가 등 다른 변동요인이 있더라고 한전 자체에서 인상분을 흡수할 여력이 있다”면서 “(급격한 대외환경 변화로) 손해가 날 경우 정부에 적극적으로 건의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2022년까지 전력수요는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상 전망보다 감소하고, 전력 설비에 여유가 있어 전기요금은 현재와 유사한 수준에서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2022년 이후에는 유가 변동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 단가 하락 등을 감안해야 하지만 급격한 요금 인상을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판단이다.

이와 관련 조 사장은 “2022년까지 큰 인상요인이 없다는 정부의 판단에 동의한다”면서도 “2023년 이후에는 조만간 결정될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수립되는 것을 봐야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전이 수주하기 위해 검토하고 있는 영국 무어사이드 원전 프로젝트와 관련해서는 “비교적 빠른 시일내 우선협상사업자가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국내 ‘탈(脫) 원전’ 정책과는 무관하게 수출을 성공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조 사장은 “(국내에서는 탈원전 정책이 추진되지만)아랍에미리트(UAE) 수주 실적 등으로 경쟁력이 더 발전했다 (이를 부각시키겠다)”고 설명했다.

조 사장은 최근 신고리 5·6호기가 공론조사를 밟는 과정에서 한전의 주가가 크게 떨어졌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영향이 없는 건 아니지만 한전뿐만 아니라 전 세계 유틸리티 회사가 파리 기후 협약이후 주가가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가 신규 원전 6기에 대해 백지화 결정을 내릴 가능성과 관련해 충분한 논의가 이뤄졌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관점에 따라 다를 수도 있지만 상당부분 논의가 이뤄졌다고 본다”고 답했다.

또 신고리 5·6호기 일시 중단과 관련해 한전 100% 자회사인 한수원이 1000억원 가량 손해배·보상을 해야하는 것에 대해서는 “한수원과 함께 손실부담을 함께 져야 한다고 본다”면서 “한수원과 협의하겠다”고 답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