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문체부 "청와대 구 본관 복원, 미니어처 제작하는 것"

장병호 기자I 2022.07.22 16:12:35

조선총독 관저 복원 논란에 해명
"30년 전 모습 안내하기 위한 것"
민주당 "일본에 저자세 보이는 것" 비판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는 청와대 활용 방안 중 구 본관 복원과 관련한 논란에 대해 “실제 건물을 복원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지난 5월 청와대 개방 후 서울 종로구 청와대를 찾은 시민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사진=방인권 기자)
문체부는 22일 언론에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청와대 구 본관 복원은 사실과 다르다”며 “실제 건물을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30년 전 모습을 관람객에게 안내하기 위해 작은 모형(미니어처)의 제작을 검토한 것임을 알려드린다”고 전했다.

앞서 문체부는 지난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한 업무보고를 통해 청와대를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활용하겠다며 이와 관련한 주요 핵심과제를 보고했다. 이 중 하나로 청와대 구 본관 터를 복원해 모형 설립을 추진한다는 내용을 포함했다.

문체부가 복원 의사를 밝힌 청와대 구 본관은 일제강점기인 1939년 준공된 조선총독 관저다. 이 건물은 해방 이후 미군 사령관 사저로 쓰이다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경무대로 활용했으며, 1993년 김영삼 전 대통령 시절 철거됐다.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부가 청와대를 제대로 보존하고 활용하는 것인지 아니면 망치려 하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신영현 민주장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일본에 대한 저자세 외교도 부족해 관계 개선을 호소하는 선물이라도 보내는 것이냐”라며 “이러다 조선총독부였던 중앙청 모형도 복원하겠다고 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비판했다. 또한 “문체부는 일제의 잔재로 민족정기를 끊기 위해 지어졌던 건물을 복원하겠다는 발상이 과연 어디서 나온 것이지부터 분명하게 답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전재수 민주당 의원도 전날 SNS를 통해 “문체부가 모형 복원을 추진한다고 한 청와대 구 본관은 조선총독관저로 건립된 건물”이라며 “1993년 민족정기를 바로잡고 국민의 자긍심을 되살리기 위해 철거됐는데, 누가 무슨 생각으로 복원을 추진하는지 대정부 질문을 통해 확인해봐야겠다”고 밝힌 바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