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1일부터 라면·의류 등 `권장소비자가격` 폐지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이성재 기자I 2010.06.30 18:33:18

오픈프라이스제 도입..의류 243개 품목·가공식품 4개품목
유통업체가 가격 결정

[이데일리 이성재 기자] 7월1일부터 라면이나 과자, 아이스크림, 의류 등에 표시된 `권장 소비자가격`이 사라진다.

실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을 제조업체가 아닌 유통업체가 결정하는 이른바 `오픈 프라이스`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다.

`오픈 프라이스`란 제조업체가 제품 겉포장에 권장 소비자가격을 표시하는 것을 금지하고, 유통업체가 최종 판매가격을 정해 표시하도록 한 제도다.

권장 가격을 실제 판매가격보다 부풀려 표시한 뒤 할인해서 팔거나, 대리점 등에 설정한 가격 이하로 재판매하는 것을 막아 가격경쟁을 제한하는 폐단을 근절하기 위해 지난 1999년 첫 도입됐다.

지난해 7월 지식경제부가 권장 소비자가격 표시금지 품목으로 의류 243개 품목과 가공식품 4개 품목을 추가로 지정했다. 1년간의 준비기간을 거쳐 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다. 결국 최종 소비자 가격이 제조업체가 아닌 유통업체로 넘어온 것이다.

따라서 대형마트에서는 이제 `가격 할인`이라는 홍보용 문구가 사라지게 된다. 여기에 각 대형마트간 가격 경쟁이 치열해질 우려가 있어 소비자들은 기존 가격보다 낮게 제품을 구입할 수도 있다. 또한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간 보이지 않는 가격 주도권을 놓고 신경전을 벌일수 있다.

유통업체 한 관계자는 "오픈 프라이스 시행은 가격 경쟁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좀 더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며 "이미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오픈프라이스가 안착되면서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혜택이 제공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