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올해 구제역 외국서 유입 최종결론…국가는 특정 안해

김형욱 기자I 2018.06.11 11:00:00

역학조사위 결과 지난해 구제역 바이러스와 유전자 일치율 낮아
"당국 방역 결과 호평…외국 바이러스 유입 방지 교육 강화해야"

지난 3월 2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박봉균 농림축산검역본부장이 경기 김포 구제역 발생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올해 구제역이 외국에서 유입된 것으로 결론지었다. 유입 국가는 유전자 조사 한계로 특정하지 않았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11일 농림축산식품부 세종청사 기자실에서 지난 7일 열린 역학조사위원회 구제역분과위원회(위원장 이중복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개최 결과를 발표했다.

구제역은 소, 돼지 등 우제류(발굽이 있는 포유류) 가축에 빠르게 퍼지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지난 3월26일 김포의 한 돼지 농가에서 A형 구제역이 발생했다. 국내에서의 구제역 발병은 14개월 만이었다. 특히 국내에선 처음으로 돼지에 O형이 아닌 A형 구제역에 걸려 당국은 비상에 걸렸었다. 4월1일 인근 농가 한 곳에서 추가 감염 사례가 확인됐다.

역학조사위는 구제역 지속 발생 국가로부터 인·물적 요인으로 유입됐다고 결론지었다. 지난해 2월 국내에서 발생한 A형 구제역의 잔존 바이러스 가능성을 조사했으나 유전자 분석 결과 일치율이 95.6%로 낮았다는 게 그 근거다.

구제역 유입 국가는 특정하지 못했다. 유전자 분석 결과 2013년 중국 돼지 분리주(95.7%)와 러시아 소 분리주(95.4%), 2015년 태국 소 분리주(95.6%), 같은 해 미얀마 소 분리3주(95.6%) 등과의 상동성이 95%대 중반에 그치며 인과관계를 찾지 못했다. 검역본부는 “(이들) 구제역이 흔한 국가에선 구제역 바이러스 염기서열 일부만 공개해서 우리나라 분리주와 상동성 비교에 한계가 있다”며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유전자원과 정보를 계속 파악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 번째 감염은 앞서 추정한 대로 분뇨·가축운반 차량을 통해 이뤄졌다고 결론 내렸다. 첫 감염 농장을 방문했던 분뇨운반차량이 2차 발생 농장도 방문했다는 게 그 근거다.

역학조사위는 당국의 방역 결과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 구제역 발생 건수는 2016년 21건에서 지난해 9건, 올해 2건으로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백신 미접종 구제역이 발병했으나 피해를 최소화했다는 평가다. 특히 2017년 소 A형 구제역 발생 이후 돼지용 A형 백신을 500만두분 비축하고 사전 대응훈련을 한 것이 주효했다고 봤다. 아울러 발병 직후 전국 돼지에 대한 A형 구제역 백신 접종을 시작하고 가축 이동금지와 가축시장 폐쇄 조치를 4월30일까지 유지했다. 정부가 올해 구제역 완전 종식을 선언한 건 5월31일이다.

역학조사위는 앞으로의 구제역 유입에 대비해 외국인 근로자를 포함해 모든 종사자와 그 가족에 대한 외국 바이러스 유입 교육을 강화할 것을 권고했다. 또 철저한 백신 접종과 함께 미접종 유형의 구제역 유입에도 대비하고 일단 구제역 발병 후엔 축산 차량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초동대응 강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지자체) 역학조사 조직 확보 필요성도 언급했다.

검역본부는 “올겨울 구제역 발생을 막기 위해 철저히 대비할 것”이라며 “이달 중 돼지 A형 백신 추가 접종과 비축물량 확대 등 개선방안을 내놓고 방역교육과 백신접종, 국경검역 강화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