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김태흠 충남지사 주도 '장항 국가습지복원사업' 결실

박진환 기자I 2023.12.06 16:00:00

6일 기재부 예타 통과…2029년까지 습지·생태숲 등 조성
중금속에 의한 토양오염 등으로 집단 암 발병 등 문제점

1970년대에 촬영한 옛 장항제련소 전경. (사진=충남도 제공)


[홍성=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의 환경분야 1호 공약인 장항 국가습지복원사업이 마침내 9부 능선을 넘었다. 충남도는 6일 대통령 지역공약이자 도민 숙원사업이기도 한 장항 국가습지복원사업이 기획재정부의 제6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내년부터 2029년까지 6년간 685억원(전액 국비)을 투입해 옛 장항제련소 주변 오염정화지역에 대한 자연환경복원 제1호 사업을 추진한다. 사업이 완료되면 옛 장항제련소 주변에는 28만 5000㎡ 규모의 습지, 생태숲을 포함한 22만 9000㎡ 규모의 녹지, 습지전망시설과 탐방로 등이 조성된다.

옛 장항제련소는 일본 조선총독부가 1936년 건설해 1945년까지 운영한 시설이다. 1947년부터 1971년까지는 국가 직영으로 운영됐으며, 1971년 민간에 매각됐다가 1989년 폐쇄됐다. 폐쇄 이후 이 지역은 제철소 운영 과정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이 토양과 농작물을 오염시키면서 주변 지역 주민들에게 집단으로 암이 발병하는 등 문제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이에 정부는 제련소 주변으로 중금속에 의한 토양오염이 발생함에 따라 2009년 옛 장항제련소 토양오염개선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환경부 주도로 2020년까지 주변 토지 매입 및 정화사업을 시행한 바 있다.

충남도와 서천군도 2019년부터 환경보전과 지역발전이 상생하는 방향으로 정화가 완료된 매입부지에 대한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했으며, 환경부에 협력을 지속적으로 요청했다. 이 같은 적극행정은 환경부가 2021년 장항 오염정화토지 활용방안 마련 및 추진 협력 약속으로 이어졌고, 도와 환경부, 서천군은 지난해 장항 국가습지복원사업 계획을 최종 확정했다. 이어 기재부에 예타 대상사업으로 선정을 요청하고, 지난해 12월부터 현재까지 사업의 정책적 필요성과 경제성 입증 등 예타 통과에 행정력을 집중, 이번에 결실을 보게 됐다.

충남도는 이 사업이 마무리되면 옛 장항제련소 일원 주민들의 일제 수탈과 중금속 오염에 의한 아픔을 치유하고,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태흠 지사는 “이번 예타 통과는 옛 장항제련소 주변 주민들에게 2009년 국가가 약속한 사항을 이행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며 “환경부와 소통을 통해 장항 국가습지복원사업이 우리나라 폐산업공간의 대표 친환경적 활용 모델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