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교육부 ‘건물매각 미스터리’ 백석대 감사…교피아 의혹도

신하영 기자I 2019.07.29 12:00:00

백석대, 교비로 지은 백석예술대 건물 80억 싸게 매입
매입 뒤 교육목적 강의동건물을 종교교단에 매각 의혹
교육부, 인허가 과정서 교육부 간부 유착 의혹도 조사
설립자 같은 백석대·백석예술대·백석문화대 2주간 감사

백석대(사진=학교홈페이지)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교육부가 교비로 학교건물을 지은 뒤 이를 종교재단에 시세보다 싸게 매각한 백석대·백석예술대를 대상으로 종합감사에 착수한다. 특히 이 과정에서 교육부 간부가 연루된 의혹도 조사할 예정이라 ‘교피아’ 논란이 불거질지 주목된다.

교육부는 다음달 12일부터 백석대·백석문화대·백석예술대에 대한 종합감사에 착수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들 3개 대학은 설립자(장종현 총장)는 같지만 학교법인은 2개로 나눠진다. 학교법인 백석대학교가 백석대와 백석문화대를, 서울백석학원이 백석예술대를 운영하고 있다. 백석예술대는 평생교육법에 의해 설립된 전공대학으로 졸업 시 전문학사 학위를 받을 수 있다.

교육부는 백석예술대에 대한 정기 실태점검에서 교사확보율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고 그 배경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백석예술대가 서울시 서초구의 강의동 건물을 백석대에 시세보다 80억 싸게 매각한 사실을 확인했다. 건립비용만 270억 원이 투입됐지만 감정평가액은 180억여 원에 그쳤기 때문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서울 서초구 지역의 건물이 건립 2년 만에 매입가가 크게 하락했다는 점에서 의구심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백석예술대는 등록금으로 조성한 교비를 해당 강의동 건립비로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4년 건립한 강의동을 2016년 말 백석대에 80억 싼 가격에 넘긴 뒤 백석대는 이를 2017년 1월에 종교교단에 매각한 것. 교육부는 백석예술대가 강의동 건립비로 270억 원을 투입하고도 이를 2년만 쓰고 시세보다 싼 가격에 백석대에 넘긴 점에 주목하고 있다.

교육부는 이번 감사에서 교육부 과장 A씨의 유착 의혹도 조사할 방침이다. 당시 건물 매각을 승인하는 과정에서 A과장이 편의를 봐준 게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져서다. 해당 과장은 지난해 8월 교육부를 퇴직한 뒤 백석예술대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가 최근 학교 측에 사표를 제출했다. A씨는 당시의 건물 거래가 적법하게 이뤄졌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 종합감사는 내달 12일부터 감사인력 27명을 투입해 2주간 이뤄진다. 의혹이 불거진 백석대와 백석예술대를 비롯해 설립자가 같은 백석문화대까지 감사를 진행한다. 설립자인 장종현 백석대 총장은 2012년에도 60억 원대의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 종합감사는 회계부정을 포함해 입시·학사·법인 등 대학 운영 전반을 살펴보는 감사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건전한 사학은 지원하고 자율성은 존중하되 교육현장의 비위에 대해서는 엄정대응 하겠다”며 “교육부와 사학이 유착됐다는 오명을 없애기 위해 철저하게 감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