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사드 보복 확대되나..식품업계도 초긴장

함정선 기자I 2017.01.11 11:00:27
◇지난해 한국산 품목 통관 불합격 비중
[이데일리 함정선 기자] 중국 정부가 한국산 화장품 수입을 무더기로 불허하면서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에 대한 두려움이 확산하고 있다. 중국이 한국과 사드 갈등을 경제보복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특히 화장품 업계에 이어 식품업계도 사드 보복에 대한 중국 정부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나섰다. 식품 역시 중국에 진출한 업체가 많은데다 직접 섭취하는 제품의 특성상 까다로운 규제나 허가 등으로 경제보복이 있을 수 있다는 분석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드 때문에 한국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 중국 소비자들의 불매 운동에 대한 걱정도 커지고 있다.

우선 제과업계, 유업계 등은 당장은 사드 보복의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오리온이나 농심, 롯데제과 등 국내 식품업체들은 현지에 법인을 세우고 현지 공장을 통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통관 등 기본 규제에서는 자유로운 편이다.

그러나 무조건 안심할 수만은 없다는 얘기도 나온다.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세무조사, 규제강화 등 불안요소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롯데그룹의 경우 롯데제과 등 중국에 진출한 계열사들이 최근 강도 높은 세무조사를 받기도 했다.

분유나 우유 등 유제품의 경우 규제나 허가절차가 까다로워지는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신선식품의 경우 수입 통관 절차 상 검역기준을 강화하거나 샘플테스트를 확대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동원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분유의 경우 최대 3개 브랜드, 최대 9개의 제품만 보유하는 등의 분유규제안도 지난해 시행돼 올해까지 유예기간이다. 한국 기업만을 타깃으로 한 규제는 아니라지만 추가 규제가 나올 수 있어 분유업계는 긴장하고 있다.

포화된 국내 시장을 떠나 중국에서 새 활로를 찾으려던 중소 식품업체들도 비상이 걸렸다. 중국 현지에 생산라인을 두지 못한 업체들의 경우 당장 통관 거부 보복을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업계에 따르면 중국국가질검총국이 지난해 한국산 식품, 화장품을 통관 거부한 사례는 전년대비 약 14%가량 늘어났다. 식품 업계에서는 중국 정부가 이슈가 있을 때마다 ‘검역강화 기간’ 등을 규정해 국내 식품 수입을 압박한다눈 얘기가 나올 정도다.

당장 규제나 허가 등에서 불이익을 당하지 않더라도 중국 소비자들의 ‘혐한’ 기류도 문제다. 한국 제품을 거부하는 소비자가 생겨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국내 식품 회사, 외식업체들은 한류를 중국 진출 마케팅 수단으로 적극 활용해왔다. 그러나 사드 배치 이후 많은 업체들이 굳이 한국 기업임을 드러내지 않는 마케팅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안 그래도 중국 현지 법인을 통해 상황을 보고 있다”며 “지금은 크게 문제될 것이 없으나 중국 정부가 어떤 규제나 법을 만들지 알 수 없는 것이 불안하다”고 말했다.

`사드 배치` 논란

- 사드 쇼크…제주 소매점판매 사상 첫 마이너스 - 사드보복·내수부진에 원료값 상승까지…캄캄한 음식료株 - 광주에서 '사드보복'은 남 일..中기업 "韓 콘텐츠 협력"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