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는 약 14%의 가격 인상을 통보한 쌍용C&E(003410)와 성신양회(004980)를 상대로 가격을 낮출 것을 직접적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멘트사들이 가격 인상 시 내세웠던 명분인 유연탄 가격이 하락했으니 오히려 단가 인하 요인이 발생했다는 입장이다.
이에 가격을 낮추고, 유연탄과 전기요금 등 가격 인상 요인이 되는 원가 분석 자료를 공개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진다. 원가 분석 자료 공개는 그동안 시멘트 가격 상승에 대응해 온 레미콘 업계에서도 주문해 온 사안이다.
시멘트 업계는 건설사의 이런 요구에 대해 “일방적으로 생산 업체인 시멘트 업계에 부담을 전가시키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먼저 유연탄 가격 하락에 대해서는 지난해 가격을 두 차례 인상할 당시 충분한 반영이 안 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유연탄은 지난 2021년부터 가격이 꿈틀거리기 시작하더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기점으로 유연탄 가격은 급격히 올랐다. 한국자원정보서비스상 동북아 유연탄의 t(톤)당 가격은 2020년 50달러를 살짝 웃돌던 수준에서 2022년 3월 343달러로 정점을 찍었다. 이를 전후해 시멘트 업계는 두 차례에 걸쳐 가격을 30% 이상 올렸다.
시멘트 업계는 가격을 올릴 당시 가격 상승에 따른 부담이 크기 때문에 유연탄값 상승분을 일부만 반영했다고 설명한다. 시멘트사들이 기준으로 삼는 호주산 유연탄의 가격은 당시 t당 400달러 이상으로 올랐는데, 유연탄 구매 가격을 135달러를 기준으로 삼고 가격을 인상했다는 것이다.
◇“전기요금, 가격 인상 요인…5년간 환경 설비 투자에 2조원 투입”
더욱이 현재 주요 이유로 앞세운 전기요금 상승분은 당시에도 반영하지 않았다는 점도 강조한다. 제조원가의 20%가량을 차지하는 전기요금 누적 인상률은 44%에 달하고, 연내 킬로와트시(㎾h)당 31원 수준의 추가 인상이 예고돼 있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시멘트 가격 인상 부담이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것이라는 시선에는 반박한다. 지난해 6월 기준 전국 99㎡(30평형) 아파트 1세대 평균 분양가는 4억 4000만원인데, 투입되는 시멘트 비용은 210만원 미만으로 전체 분양가의 0.48% 수준에 그친다고 한다.
아직은 직접적인 가격 인상 요인으로 내세우진 않고 있지만, 탄소중립 설비 개조와 환경·안전 분야 환경규제 대응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해야 해 부담이다. 한국시멘트협회가 시멘트업계 설비투자 실적·계획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19년부터 올해까지 총 2조315억원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멘트협회 측은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을 위한 투자를 고려한다면 향후 3~4년간 설비투자가 급증할 것”이라며 “이같은 환경부담 가중은 10여 년 동안 영업이익이 제자리 수준인 시멘트업계가 자체적으로 감내할 수 없는 수준이다. 경영상태가 다소 나은 업체들도 향후 시일이 지날수록 경영이 악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부에서 역할을 해줘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지만 건설업계와 시멘트사 간 견해차가 워낙 큰 만큼 원만한 조율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라는 평가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시멘트사는 t당 최대 12만원까지는 받고 싶어 하고 건설사는 7만원까지 내려야 한다는 입장이라 간극이 크다”며 “두 곳 다 상황이 녹록지 않아 어느 한쪽의 양보를 이끌어내는 게 쉬운 일이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시멘트 업계는 건설업계와 레미콘 업계가 요청하고 있는 원가 분석 자료 공개에 대해서는 난색을 표했다. 영업비밀이기 때문에 공개하는 게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