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10년만에 3%대 빅스텝 단행…"주택값 하방압력 더 거세져"

하지나 기자I 2022.10.12 12:07:18

한은 '빅스텝' 단행…부동산 전문가 전망은
"구매력 하락에 매수심리 위축…민간 주택공급도 악화"
"월세 선호 가속화 확산…전세수요 감소 전셋값 하락도"

[이데일리 하지나 기자] 10년 만에 기준금리가 연 3%대로 들어서면서 시장에서는 부동산 시장 하방압력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2일 정례회의를 열고 10월 기준금리를 현행 연 2.5%에서 3%로 0.5%포인트 인상했다. 지난 7월 이후 역대 두 번째 빅스텝이다. 기준금리가 연 3%대로 올라선 건 2012년 9월 이후 10년 만이다. 이에 따라 부동산 시장에서는 매수 심리가 위축되면서 주택 시장의 거래 절벽 분위기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2022년 10월 통화정책방향 금융통화위원회. (사진=한국은행)
정보현 NH투자증권 WM마스터즈 부동산 전문위원은 “주택 매입 수요의 원리금 상환액 증가 부담이 구매력 하락으로 이어지고 이는 심리 위축과 수요 감소로 이어져 매매 시장 또한 회복은 어려워 보인다”며 “민간 주도 주택 공급의 자금 조달 부담에 따른 사업 지연이 우려되면서 공급 여건도 더욱 녹록지 않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위원은 “지난해 높은 대출로 내 집 마련을 했던 영끌족의 주요 매입지역인 서울 외곽과 경기도 GTX 개발 호재 지역은 최근 먼저 큰 폭으로 호가가 조정되고 있고 사실상 거래가 끊긴 상황이어서 불안감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며 “일부 주택 대기 수요자는 기준금리 인상 기 직후를 매입 적기로 보고 관망세를 취하고 있어 금리 인상기가 끝날 때까지 이런 현상은 지속할 것이다”고 진단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금리 인상 영향으로 부동산 시장은 더욱 크게 억눌리고 매매량은 현저하게 줄어들 것이다”며 “매수 심리 위축은 물론, 가격 하락으로 오히려 집주인이 매물을 회수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거래 건수는 지난 7월 이후 1000건을 밑돌고 있다. 7월 642건, 8월 670건, 9월 389건을 기록 중이다. 월세 선호 현상은 가속화될 전망이다. 정보현 전문위원은 “주택임대차 시장에서 전세의 월세화 전환 속도가 더욱 가파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며 “대출금리 인상, 깡통전세 리스크 등 전세 수요가 빠르게 감소하는 추세가 탄력을 받아 전셋값의 매매가 지지선 역할이 더욱 축소될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