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2035년 배터리 시장 규모 815조원…북미·유럽 생산 증가”

박순엽 기자I 2023.04.12 14:08:21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 ‘NGBS 2023’ 개최
2035년까지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연 19.5%↑
중국 생산 비중 줄고, 북미·유럽 생산 비중 늘어
“2030년 북미 배터리 공급 부족…韓 업체 기회”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오는 2035년엔 내연기관차를 보는 게 더 힘들 겁니다. 전체 차량의 90%가량이 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포함)로 바뀌면서죠. 이처럼 전기차가 대중화하면 전기차에 쓰이는 배터리(이차전지) 시장도 함께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오익환 SNE리서치 부사장은 12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NGBS(Next Generation Battery Seminar) 2023’에서 “2035년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 규모(팩 기준)는 올해부터 연평균 15.5% 성장해 6160억달러(815조원)에 이를 것”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오익환 SNE리서치 부사장이 12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NGBS(Next Generation Battery Seminar) 2023’에서 글로벌 배터리 시장을 전망하고 있다. (사진=박순엽 기자)
이날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순수전기차(BEV)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의 판매량은 약 108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다. 전기차 판매량은 올해 1364만대→2025년 2189만대→2030년 4934만대→2035년 7878만대로 연평균 16.5% 성장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SNE리서치는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도 2023년 687기가와트시(GWh)에서 2025년 1207GWh→2030년 3074GWh→2035년 5256GWh로 늘어나리라고 예상했다. 이는 연평균 19.5%의 성장세다.

오는 2035년 글로벌 상위 6개 업체의 생산 능력은 약 5테라와트시(TWh)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지난해 생산 능력 1TWh보다 5배 커진 규모다. 상위 6개 업체는 국내 배터리 3사인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과 중국 CATL·BYD, 일본 파나소닉을 말한다.

지역별로 보면 중국이 차지하는 생산 능력 비중은 2022년 75%에서 2035년 38%로 줄어들 전망이다. 같은 기간 북미 생산 능력 비중은 6%에서 31%로, 유럽 생산 능력 비중은 12%에서 27%로 늘어날 것이란 게 SNE리서치 분석이다.

SNE리서치는 2035년 전기차·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수요가 7.3TWh에 달하는데, 공급은 5.9TWh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즉, 2030년대 안팎으로 전기차와 ESS용 배터리의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해지리란 얘기다.

오 부사장은 “유럽·북미 시장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데, 북미·유럽 신규 배터리 업체들이 계획에 맞춰 정상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며 “이에 따라 특히 북미 지역의 배터리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영향으로 중국 업체가 북미 시장에 들어오지 못하면 한국 또는 일본 업체가 이 자리를 차지할 것”이라며 “한국 업체들이 북미 내에서 빠르게 증설하고 있는 만큼 지역 내 부족한 배터리 공급량을 채울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최근 광물 가격이 하락하는 현상을 두고선 “당분간 메탈 가격 하락 모멘텀은 유지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3월 기준 리튬 가격은 1년 새 38.9% 하락했고, 같은 기간 니켈·코발트 가격은 36.4%, 59.5% 떨어졌다.

아울러 SNE리서치는 ‘꿈의 배터리’라고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양산 시점을 2027년이라고 내다봤다. 오 부사장은 “전고체 배터리 비중은 2035년 전체 배터리 시장의 10~13%를 차지할 것”이라며 “2030년 이후 황화물계 중심으로 전고체 배터리 시장이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SNE리서치는 이 밖에 차세대 배터리 기술로 △나트륨 전지 △코발트 프리 △리튬 에어 △열화 진단·예측 기술 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꼽았다. 배터리 재활용 시장 규모 역시 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라 2040년 1741억달러(230조원·광물별 금액 기준)에 이르리라고 내다봤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