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환 고양시장 "경제자유구역, 청년들 직업찾아 서울로 안가도 돼"

정재훈 기자I 2023.03.13 15:20:50
[고양=이데일리 정재훈 기자] “경제자유구역 지정으로 첨단 글로벌 클러스터와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고양시민들의 자녀와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서울로 가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이동환 경기 고양특례시장이 13일 화전동과 대덕동에서 ‘주민과의 대화’를 갖고 현재 시가 추진중인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따른 이점을 이같이 설명했다.

이 시장은 이날 “고양시는 수도권정비계획법 및 과밀억제권역 등 법과 제도로 기업 하나 들어오지 못하는 규제를 받고 있다”며 “고양시가 자족도시로 갈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은 경제자유구역 지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기북부 최초로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바이오, K-컬쳐, 마이스, 반도체 등 미래 혁신기술이 고양시로 집약되고 첨단 글로벌 클러스터와 산업 생태계가 조성된다”며 “경제자유구역으로 생겨날 경제·교통·인프라 등 모든 혜택이 시민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동환 시장이 주민의견을 듣고 있다.(사진=고양특례시 제공)
이와 함께 이 시장은 일산신도시 등 1기신도시 재정비 계획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노후계획도시 특별법’ 적용 대상은 ‘택지조성 완료 후 20년 이상 경과한 100만㎡ 이상의 택지 등’으로 일산신도시는 물론 화정·능곡 등 노후 비율이 높은 지역이 포함됐다.

이 시장은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자체의 자율권과 주민들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담아낸 법안을 만들겠다’고 약속한 만큼 용적률과 건폐율, 안전진단 기준 완화 등 주민에게 편익이 더 돌아가고 주차장 등 기반시설도 더 풍족해지는 좋은 결론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감을 전했다.

아울러 최근 고양시의 가장 큰 현안이기도 한 시청의 백석동 이전에 대한 의견도 내놨다.

이동환 시장은 “수년 간 소송 끝에 지난해 11월 요진 업무빌딩이 고양시 귀속으로 최종 확정됐다”며 “토지 매입이 아직 안 되고 원자재값 등 폭등으로 사업비 약 4000억 원이 들어갈 주교동 신청사 건립보다 새로운 선택지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백석동 신청사로 원당지역이 공동화된다는 것은 사실과 다른 이야기”라며 “현재의 시청사에 남아 근무하는 직원도 많고 보건소와 사업소, 산하기관 등 다른 행정기관이 새롭게 자리를 잡을 예정이기에 백석동 신청사로 인한 행정기관과 직원의 비중은 크게 차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시장은 “성사혁신지구와 함께 진행중인 원당 재창조 프로젝트는 원당 일대에 새로운 도약을 이끌 혁신적인 기관들이 들어서도록 유도해 보다 계획적이고 효율적인 도시를 만들고 그 결과들은 시민의 이익으로 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