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내 해운 산업, 高금리 시기 장기화 대비해야”

박순엽 기자I 2022.06.24 16:23:19

기준금리 1% 상승에 해운사들 이자비용 39%↑
경기 둔화 함께 운임 하락으로 재무 부담 전망
“신조선가 13년 새 최고치…재무·시장 검토해야”
“정부 나서 ‘해운산업 위기대응 체계’ 구축 필요”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앞으로 기준금리가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해운업계가 고(高)금리 불황을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당장은 환율 상승과 실적 호조로 큰 부담이 되지 않을 수 있지만, 고금리가 장가화하면 해운 산업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사진=이미지투데이)
24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최근 동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올해 기준금리가 1% 추가 상승하면 127개 해운기업의 총 이자비용이 5525억원(39%)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또 1.25% 상승 시엔 6906억원(49%), 1.5% 상승 시엔 8287억원(58%)이 각각 증가할 전망이다.

이 같은 고금리 시대가 이어지면 경기 둔화와 함께 운임 하락이 나타나면서 선사들이 재무적인 부담을 느낄 수 있다는 게 보고서의 주된 주장이다. 특히 최근 신조선 발주량이 급증하면서 선종별 신조선가가 꾸준히 오르고 있어 높은 가격에 신조선을 대량으로 발주한 선사는 그 부담을 더 크게 느낄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지난달 신조선가지수는 전월 대비 2.3포인트 상승한 160.1포인트를 기록하면서 2020년 12월 이후 18개월 연속 상승하고 있다. 이는 2009년 2월 이후 최고치다. KMI 관계자는 “각 선사는 신조 등 투자 관련 의사결정 시 내부 재무·시장 상황을 자세히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다가올 불황을 대비해 사전적인 지원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국내 해운 산업은 고운임·고선가 시기 선박을 대거 발주하거나 장기용선 계약을 맺어 불황 시 해운 산업 전반에 위기가 퍼지는 일이 잦았는데, 이는 불황기에 선박 투자를 할 수 있는 경기 역행적 선박 투자 여건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 분석이다.

보고서는 경기 역행적 선박 투자 여건을 마련하려면 해운시장 위험과 기업 부실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해운 산업 위기 대응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장 방향성을 상시 점검해 국내 해운기업이 투자와 사업 확장·축소를 판단하는 데 힘을 보태 국가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우리나라와 주요 해운국 경제위기 대응 특징 (표=한국해양수산개발원)
아울러 KMI는 한국형 선박 조세리스 제도를 도입해 민간 금융의 선박 투자 참여를 유인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선박 투자 회사의 배당수익에 세제 혜택을 부여하는 등 인센티브를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고부가가치 해운 산업 육성을 위한 선박 거래(S&P) 시장 활성화도 요구했다.

KMI 관계자는 “글로벌 경제 위기가 미·중 무역 환율 갈등, 한·일 무역 갈등, 코로나19 사태 등 여러 요인과 다양한 형태로 광범위하게 발생하거나 장기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리스크가 존재한다”며 “국내 해운 산업이 도약하기 위해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다가올 불황에 앞서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