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AI 메모리 전선, HBM 이어 기업용 SSD로…삼성·SK 격돌

김응열 기자I 2024.05.22 15:10:14

낸드로 번진 AI 효과…AI 서버향 기업용 SSD 수요 증가
기업용 SSD 1위 삼성…2위 SK, 점유율 높여 바짝 추격
AI 메모리 2라운드…HBM 밀린 삼성, 낸드 수성 나선다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인공지능(AI) 메모리 전선이 D램 기반 고대역폭메모리(HBM)에서 낸드플래시 기반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시장으로 번지고 있다. 추론 영역으로 AI 트렌드가 확대되자 기업들이 자체 AI 서버 구축에 나선 영향이다. HBM 부진을 만회하려는 삼성전자와 기업용 SSD 점유율 추격에 고삐를 당기는 SK하이닉스간 경쟁도 심화할 전망이다.

22일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업용 SSD 계약 가격은 1분기 대비 20~25%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범용 플래시저장장치(UFC)와 소비자용 SSD까지 포함해 모든 낸드 기반 제품 가격이 평균 13~18% 오를 것으로 보이는데, 그 중 기업용 SSD 전망치가 가장 높다.

트렌드포스는 “북미와 중국의 클라우드서비스 제공업체(CSP) 수요 증가로 기업용 SSD 구매량이 늘어나고 있다”며 “하반기 성수기 전 구매자들이 재고를 늘리려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업용 SSD 시장이 뜨는 건 AI 효과 때문이다. 지난해에는 AI 트렌드가 학습에 치중돼 있었는데 올해부터는 추론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데이터센터 기업들이 자체 AI 서버 구축을 위해 고용량·고사양의 SSD 구매에 나서고 있다. AI 효과가 HBM에서 기업용 SSD로 번지는 것이다.

지난해 4분기 업체별 기업용 SSD 점유율. (사진=트렌드포스)
현재 기업용 SSD의 강자는 삼성전자(005930)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삼성전자 점유율은 45%로 1위다. 그런데 SK하이닉스(000660)와 자회사 솔리다임의 추격이 만만치 않다. 2위인 SK하이닉스·솔리다임은 통상 20%대 점유율을 보여왔으나 지난해 4분기에는 32%로 전기 대비 7.1%포인트 늘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솔리다임의 점유율 격차는 13%포인트다.

솔리다임의 QLC 기반 SSD 제품. (사진=솔리다임)
특히 솔리다임은 최근 데이터센터 고객사에서 60TB 기업용 SSD의 퀄 테스트를 통과했다. 퀄 테스트는 공급사의 제품 품질이 납품 가능한 수준인지 고객사가 판단하는 최종 인증 과정이자 계약 전 마지막 단계다. 솔리다임의 고용량 기업용 SSD 납품이 임박했다는 의미다. SK하이닉스·솔리다임의 점유율이 더 늘어날 여지가 있는 셈이다.

안현 SK하이닉스 부사장은 지난 2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급성장하는 고용량 SSD 수요에는 세계 유일의 QLC(쿼드러플레벨셀) 기반 60TB 기업용 SSD로 대응할 것”이라며 “내년에는 300TB 초고용량 제품도 준비하겠다”고 언급했다.

HBM에서 AI 반도체 초기 주도권을 잃은 삼성전자는 기업용 SSD만큼은 1위를 지키겠다고 각오를 다지고 있다. 이를 위해 하반기 중 QLC 기반 9세대 V낸드를 양산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역시 64TB 등 60TB 이상 고용량 SSD 공급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현재웅 삼성전자 DS부문 상품기획실 상무(사진=삼성전자)
현재웅 삼성전자 DS부문 상품기획실 상무는 “AI 시대에는 HBM 외에도 다양한 솔루션이 요구되며 추론 단계에서 알고리즘이 빠르게 동작하기 위한 고성능 스토리지가 필요하다”며 “삼성전자 V낸드는 고성능 스토리지로서 정확하고 빠른 AI 서비스 실현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종환 상명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는 “HBM 성공으로 기세가 오른 SK하이닉스가 낸드 시장에서도 자신감을 표출하면서 공격적으로 AI 수요를 공략할 가능성이 크다”며 “삼성전자로서는 낸드마저 위협당하면 안 된다는 위기감이 있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