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통일부, 선유도·홍도에 납북자 송환기원비 세운다

윤정훈 기자I 2024.05.20 15:12:35

1977·1978년 북한으로 피랍된 학생 송환기원비 설립
김영호 통일장관 24일 정부부처 장관 최초 피랍지역 방문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 해결에 노력

[이데일리 윤정훈 기자] 통일부가 1970년대 후반 고교생 5명이 북한 공작원에 의해 납치됐던 전북 군산 선유도와 전남 신안 홍도에 송환을 기원하는 비석을 세운다.

최성룡(가운데) 전후납북피해가족연합회 이사장을 비롯한 납북자, 억류자, 국군포로 가족들이 16일 서울 뚝섬 한강공원에서 열린 ‘2024 서울 국제정원박람회’에 참석해 소감을 밝히고 있다(사진=통일부)
통일부는 김영호 통일부장관이 오는 24일, 정부 부처 장관으로서는 처음으로 40여 년 전 어린 고등학생들의 납북사건이 발생했던 현장을 방문해 고교생 납북자 송환기원비를 세우고 그 가족들을 위로함과 동시에 송환을 재촉구할 계획이다.

통일부는 이들이 납북된 장소인 선유도 해수욕장과 홍도 해수욕장에 송환기원비를 세워서, 이곳을 찾는 많은 사람들이 어린 고교생들과 그 가족들이 겪은 아픔을 기억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24일 선유도 제막식에는 김 장관을 비롯해 줄리터너 미 국무부 북한인권대사, 이신화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 최성룡 전후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 이사장 그리고 피해자 가족 등이 참석한다. 27일 홍도에서 열린 제막식에는 문승현 통일부 차관이 참석하며, 최성룡 이사장과 홍도 해수욕장에서 납북되었던 학생들의 가족이 참석할 예정이다.

통일부에 따르면 1977년 8월 전북 군산시 선유도 해수욕장에서 김영남 학생이, 같은 달 이민교·최승민 학생이 전남 신안군 홍도에서 각각 북한 공작원에 의해 납치됐다. 이듬해 8월에는 홍도에서 이명우·홍건표 학생이 북으로 피랍됐다.

통일부는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 해결을 ‘자국민 보호’의 중대한 책무로 인식하고, 우리 국민들과 함께 그리고 국제사회와 협력해 이분들이 가족의 품으로 하루빨리 돌아올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