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일문일답]정부,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발표···과기부 역할은?

강민구 기자I 2020.12.07 12:53:45

최기영 "내년 1조 3300억, 탄소중립 1667억 투입"
내년 3월까지 '탄소전략'···수소분해에 5년간 240억
산업부·환경부와 35억원 투입해 CCS 기술 실증 착수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정부안 기준으로 지난해 대비 14% 증액된 1조 3300억원의 연구개발 예산을 확보했다. 과기부 차원에서도 지난해 대비 16.9% 증액된 탄소중립 연구개발에 1667억원을 내년에 중점 투자할 계획이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7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개최한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안)’ 발표에서 과기부 예산 투입 계획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과기부는 관계부처와 협업해 핵심 원천기술 연구를 수행하고, 내년 3월까지 연구개발 투자 계획을 담은 ‘탄소전략’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내년부터 앞으로 5년 동안 240억원을 투입해 수소를 친환경적으로 분해하는 기술 개발을 시작한다. 이와 함께 산업부, 환경부와 협력해 35억원을 투자해 태양전지, 이차전지 등 차세대 연구개발을 통해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기술 실증도 착수할 계획이다.

아래는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후기술대응팀과의 일문일답.

정부가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안을 발표한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핵심 원천기술 연구를 수행하고, 내년 3월까지 가이드라인도 만든다.(사진=이데일리 DB)
Q. 예산은 얼마나 투입하는가.

내년 예산 국회 심의 과정에서 에너지 전환지원, 탄소저감기술 개발 등 관련 사업이 3000억원 규모로 증액됐다. 저탄소 사회 전환 등 기반 조성을 위한 예산이고, 에너지 공급·수요관리 기술개발 등 일부 연구개발 예산이 포함됐다.

정부안 기준으로 지난해 대비 14% 증액된 1조 3300억원을 연구개발에 투자할 계획이다. 과기부 차원에서도 지난해 대비 16.8% 증액된 탄소중립을 위한 예산 1667억원을 확보했다. 예산은 향후 더 증액할 수 있으며, 매년 연평균 10% 이상 증액되는 추세다.

Q.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역할 어떻게.

과기부는 산업부, 환경부와 미션이 다르다. 기본적으로 태양광, 수소, 스마트그리드, 이산화탄소 포집 등 기술개발 연구는 모두 수행하고 있다. 내년 3월에는 연구개발 차원에서 탄소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과기부가 연구개발을 단기, 중기, 장기적으로 어떻게 할지 내용을 포함할 계획이다.

단기적으로 기존 개발 기술 상용화를 지원하고, 중기적으로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인 NDC 감축에 기여할 연구개발을 2030년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2050년까지 핵심 원천기술도 개발할 계획이다.

다만 연구개발만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고, 인프라 확보 측면이 강하다. 기술뿐만 아니라 금융, 세제 등이 함께 어우러져 시너지를 내야 탄소중립 실현에 가까워질 수 있다. 기술개발과 함께 제도, 사회적수용성을 함께 개선해야 한다.

Q. 내년에 추진하는 주요 사업이 있다면.

수소 생산과 저장에서 기술적 문제가 있다. 이산화탄소를 없애려면 수전해 방식을 이용해야 하지만 현재 수소를 생산 시 석유화학공정에서 나오는 부생수소를 쓰거나 LNG를 개질해 이용한다. 이 과정에서 부산물로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기 때문에 물을 전기분해해 만드는 수소인 ‘그린 수소’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태양열이나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해 수소를 분해하는 미래형 기술 개발도 필요하다. 관련 기술 개발을 내년에 신규 사업으로 추진해 올해 33억원, 앞으로 5년간 24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기존 태양전지나 이차전지 기술개발도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부, 환경부와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기술을 개발하고 실증하는데 35억원을 활용할 예정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