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부, 직업계고 학생 취업 돕는다

서대웅 기자I 2024.03.21 14:30:00

취업난 가중에 '맞춤형 고용서비스' 개시
진로상담, 취업연계 등 프로그램 지원

[이데일리 서대웅 기자] 정부가 직업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상담, 취업연계 등 지원에 나선다. 직업계고 졸업생들의 취업난이 심화하면서다.

(사진=연합뉴스)
고용노동부는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20곳을 선정, 전문 상담사가 고교에 찾아가는 ‘고교생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개시한다고 21일 밝혔다. 진로 설계, 기업 직무체험, 현직자 멘토링, 취업역량교육 등의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이다. 직업계고 재학생, 비진학 일반고 학생(일반고 특화과정에 참여하는 학생 중 개별신청자)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직업훈련 전·후로 나눠 △진로 탐색, 심층 상담, 직업 포트폴리오 설계 △취업 목표 수립 및 활동계획 수립·관리 △일경험·직업훈련 프로그램 참여 지원 △모의 면접, 현장 직무 체험, 이력서 클리닉 등 취업역량 강화 지원 △졸업 후 사후관리(2년) 등을 지원한다.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자 비율이 2022년 29.6%에서 지난해 27.3%로 하락하는 직업계고 취업난은 심화하고 있다. 특히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 비중이 2017년 16.7%에서 지난해 25.8%로 오르는 등 진로 설계에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대학의 우수 기반시설과 산학네트워크를 활용해 고졸 청년의 사회진출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정식 고용부 장관은 이날 오전 영남이공대학교에서 대구교육청, 계명대, 영남이공대, 계명문화대와 함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대구지역 전체 직업계고에 찾아가는 고교생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장관은 “직업계고가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선 정부뿐 아니라 지역 대학과 기업 등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고용부는 직업계고가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기술인력을 양성하도록 미래유망 분야 고졸인력 양성사업을 45개교(55개 학과)에서 올해 58개교(75개 학과)로 늘릴 계획이다. 도제 활성화를 위해 우수 학생 장학금 지급 및 신기술 체험 기회 확대 등 프로그램도 추진하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