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지하철 비상전화로 "덥다" 민원.."열차 지연돼 민폐"

전재욱 기자I 2023.07.06 16:06:37

서울 지하철 냉난방 민원 예년보다 60% 증가
비상전화 민원도 상당..응급상황으로 인식돼 열차 지연

[이데일리 전재욱 기자] 지하철 객실이 덥거나 춥다고 느끼는 승객이 비상통화장치로 온도조절을 요구하면 열차 운행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엔데믹으로 일상 회복이 이뤄지면서 지하철 냉난방 민원이 평소보다 급증하는 가운데 이런 사례가 잇따르는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4일 오전 서울 지하철 9호선 김포공항역에서 승객들이 지하철을 기다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
6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올해 1∼5월 고객센터로 접수된 냉난방 관련 민원은 모두 25만4965건으로 전년 동기(15만9457건)보다 59.9% 늘어났다.

기 기간 덥다는 민원은 13만9947건에서 22만4231건으로 60.2%, 춥다는 민원은 1만6608건에서 2만7429건으로 65.2% 각각 늘었다. 승객마다 체감 온도가 달라서 같은 열차 안에서 덥다와 춥다는 민원이 동시에 들어오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일부 승객은 객실에 배치된 비상 통화장치로써 기관사에게 직접 온도 조절을 요구하기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공사 관계자는 “일부 승객이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온도조절을 요구하면 승무원이 현장을 직접 확인해야 한다”며 “이러면 열차 운행이 상당 시간 지연될 수 있다”고 말했다.

비상통화장치로 접수된 민원은 응급한 상황으로 인식하고 처리 절차가 까다로워지는 탓이다. 냉난방 민원은 공사 고객센터나 ‘또타지하철’ 앱으로 하는 것이 좋다.

공사는 서울 지하철 온도를 여름철 24∼26도, 겨울철 18∼20도로 맞춘다. 온도 관련한 민원이 접수되면 송풍기를 가동하거나 혼잡구간 전 냉방 등으로 조처해 대응하고 있다.

평소 열차 양쪽 끝 객차의 온도가 낮으므로 더위에 약한 승객을 활용할 여지가 있다. 반대로 추위에 약한 승객은 객실 중앙(약냉방석)이나 약냉방 칸을 이용하면 편하다.

현재 1·3·4호선은 4번째·7번째 칸, 5·6·7호선은 4번째·5번째 칸, 8호선은 3번째·4번째 칸이 약냉방 칸이다. 2호선은 혼잡도가 높아서 약냉방 칸을 운영하지 않는다.

더운 승객은 또타지하철 또는 T맵 앱 혼잡도 예보 기능을 활용해 승객이 적은 칸을 이용하는 것도 요령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