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취업제한 풀린 김승연 회장, 경영복귀 임박…신사업·경영승계 속도

경계영 기자I 2021.02.18 11:26:56

18일부로 취업제한 규정 종료
이달 말 주총 결의안서 복귀 형태 윤곽
세 아들 경영권 승계·미래 신사업 본격화 전망

[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취업제한이 18일 끝나면서 그룹 경영에 공식 복귀할지 관심이 쏠린다. 7년 전 물러났던 대표이사와 등기이사를 다시 맡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경영 전면에 나선 김 회장이 우주항공을 비롯한 미래 신사업 육성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사진=한화)


김승연 회장, 19일부터 공식 경영 복귀 가능

18일 재계에 따르면 김승연 회장에게 적용된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취업제한 규정이 이날 해제됐다.

앞서 김 회장은 2012년 8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 혐의로 기소돼 2014년 2월 징역 3년, 집행유예 5년의 판결을 받아 ㈜한화(000880)를 비롯한 7개 계열사 대표이사직을 내려놓았다.

김 회장은 2019년 2월 집행유예가 종료됐지만 배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으면 집행유예의 경우 형이 종료된 날로부터 2년 동안 해당 회사로의 취업이 금지돼 경영 활동에 제약을 받았다. 18일 취업제한이 끝난 김 회장은 19일부터 공식 경영 복귀가 가능하다.

그간 김 회장이 경영 전반에 관여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었다. 다만 법적 제약이 없어지면서 공식 대표이사 혹은 등기이사 직함을 달고 직접 경영에 나설 수 있게 돼 경영 보폭이 더욱 빨라질 가능성이 커졌다.

한화그룹에 따르면 아직 김 회장의 행보가 구체적으로 결정되진 않았다. 다음달 정기 주주총회를 앞두고 등기임원 선임 등 안건을 포함한 주총 소집 결의를 공시하는 이달 말께 복귀하는 계열사와 그 형태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신사업 육성 본격화…승계 구도에도 관심

일각에선 지금처럼 회장직만 유지하고, 등기이사나 대표이사를 맡진 않을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이미 지난 7년 동안 등기이사를 맡지 않고도 경영 활동을 이어왔다.

더욱이 김 회장이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사이 장남 김동관 사장이 한화솔루션(009830)을, 차남 김동원 전무가 한화생명(088350)을 각각 책임지고 있다. 지난해 말 삼남 김동선 상무보도 한화에너지로 복귀하는 등 그룹 3세 경영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서 경영권 수업을 강화하면서 승계 작업을 본격화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김 회장이 공식 경영일선에 복귀하면서 그룹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신사업에 본격 시동이 걸릴 전망이다. 그는 올해 신년사에서 모빌리티, 항공우주, 그린수소 에너지, 디지털 금융 솔루션 등 신사업에서의 성장 기회를 선점할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실제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지난달 인공위성 전문업체 쎄트렉아이 지분 30%를 인수하는 등 우주사업 투자를 본격화했다. 한화시스템(272210)도 도심 에어택시 등 신사업에 뛰어들었다.

‘미국통’으로 꼽히는 김 회장의 미국 정·관계 인맥도 한화의 신사업 진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01년 설립된 한미교류협회의 회장을 맡았던 그는 미 헤리티지재단과 오래 인연을 이어왔고, 빌 클린턴 전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취임식에 초대 받았다.

김승연(왼쪽) 한화그룹 회장과 김동선 한화에너지 상무보가 지난해 10월26일 오후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삼성병원 장례식장에서 조문을 마친 뒤 나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