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다시는 목숨 잃는 교사 없길” 민주당 인재영입식서 오열한 초등교사

김혜선 기자I 2024.01.29 14:39:31

민주당 11호·12호 영입인재에 이지은 전 총경·백승아 전 교사
이지은 “경찰 조직 尹정권에 망가져...경찰 본연 모습 찾겠다”
백승아 “더이상 목숨 잃는 교사 없길” 눈물

[이데일리 김혜선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경찰, 교육계에서 변화를 주도해온 이지은 전 총경과 백승아 전 초등교사를 11호, 12호 인재로 영입했다. 이 전 총경은 행정안전부 산하 경찰국 설치를 반대하며 총경회의를 이끈 인물이고, 백 전 교사는 전국초등교사 노동조합 수석부위원장으로 ‘서이초 사건’에서 목소리를 내 왔다.

29일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11·12차 인재영입식에서 백승아 전 교사가 인사말을 하던 중 눈물을 닦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9일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국회 당대표회의실에서 열린 인재영입식에서 “백승아 선생님이 상징하는 일들은 서이초 사건으로 우리 사회 교육현장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사건”이라며 “학생 인권과 교권은 충돌하는 문제가 아니라 상호보완해야 하는 소중한 가치다. 교육현장 개선점을 찾아내고 대한민국 교육을 바로세우는 역할을 해 주실 것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이 전 총경에 대해서는 “민중의 지팡이로 경찰 본연의 역할에 충실했던 분”이라며 “윤석열 정권에서 경찰 장악을 시도해 이지은 전 총경께서 열심히 저항하다가 불이익을 입었다. 민주당과 국민 안전을 책임지는 대한민국의 중요 인재로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9일 국회에서 열린 11·12차 인재영입식에서 이지은 전 총경(왼쪽), 백승아 전 교사와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날 백 전 교사는 “현행법 상 교사의 신분으로 정치를 할 수 없는 상황이기에 사직서를 내고 여기까지 왔을 정도로 절박한 심정”이라며 눈물을 보였다. 그는 “학생들이 행복하게 배울 수 있는 학교, 학부모가 안심하고 보낼 수 있는 학교, 교사들이 안전하게 가르칠 수 있는 학교를 만들어야 한다”며 “다시는 가르칠 수 없는 환경에서 목숨을 잃은 교사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전 총경은 “경찰 책임자는 경찰을 정권 유지에 활용하기 위해 만든 행안부의 경찰국에도, 법률로 규정된 경찰 수사권을 정부가 시행령 통치로 뒤집어도 말 한 마디 못한다”며 “주어진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만으로는 정의롭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한계가 있음을 고백한다”고 정치 참여 이유를 밝혔다.

이어 “제1야당 대표에 암살 시도가 있었음에도 당국은 사건 축소와 은폐에 급급하다”며 “경찰을 정치적으로 장악하려는 윤석열 정권에 저항하고자 총경회의 기획했지만 아우성만으로는 경찰 정치적 중립 지켜낼 수 없었음을 반성한다. 그래서 더 큰 세상에서 저와 같은 생각을 하는 분들과 그 꿈을 이뤄보려 한다”고 말했다.

백 전 교사와 이 전 총경은 이어진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도 윤석열 정권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을 이어갔다. 백 전 교사는 “교육부에서 ‘교사에 부담이 없도록 약속하겠다’고 했음에도 늘봄학교를 전격발표했다. 이런 식으로 들어온 업무가 방과 후 학교, 학교폭력 등 많다”며 “선생님들은 교육 연구를 해야 하는데 방과 후 학교 때문에 교실에서 나와서 추위에 떨며 야외에서 연구하기도 한다. 학교는 교육기관이지 돌봄기관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 전 총경은 “경찰 조직이 윤석열 정권에 의해 망가지는 모습을 볼 수 없다는 생각이 들어 사랑하는 경찰 조직을 그만두고 정치권에 왔다”며 “경찰국 설립으로 윤 정부는 국민의 경찰이 아닌 정권 유지를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자 하는 야욕을 드러냈다”고 말했다.

이어 “내가 경찰을 그만두더라도 경찰 밖에 나가서 경찰의 울타리가 되어야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국회의원이 되어서 경찰이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경찰이 본연의 모습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일조를 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