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尹과 대격돌' 민주노총 총파업 시작…경찰 대응 수위 높이나

조민정 기자I 2023.07.03 15:27:52

3일부터 15일까지 2주간 전국 총파업 돌입
산별노조 순환 파업, 촛불 집회 등 진행
"尹 정권 퇴진투쟁 대중화하는 방아쇠 될 것"
경찰, 퇴근길 집회 금지 통고…"법·원칙 대응"

[이데일리 조민정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전국 곳곳에서 2주간 윤석열 정권 퇴진을 촉구하며 본격적인 대정부 투쟁에 돌입했다. 장기간 총파업으로 교통 혼잡 등 시민 불편이 예상되는 가운데 경찰은 예외 없이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하겠다고 예고하며 물리적 충돌 우려도 커지고 있다.

3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민주노총 총파업 돌입 선언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민주노총은 3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7월 총파업은 윤석열 정권의 퇴진투쟁을 대중화하는 방아쇠가 될 것”이라고 총파업 돌입을 선포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서울을 비롯해 전국 15개 지역에서 진행됐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2주간 40만명 넘는 노동자들이 파업에 참여하고, 20만명 넘는 노동자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올 것”이라며 “어느 때보다 많은 노동자들이 유례없이 강력한 총파업을 결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윤석열 정권 하에서 이렇게 살 수 없다는 절박한 외침이며, 이대로 살 수 없다는 단호한 결심”이라고 강조했다.

오는 15일까지 총파업을 예고한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2시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에서 서비스연맹의 택배기사 등 특수고용직(특고) 노동자 파업 대회를 시작으로 산별노조의 순환 파업에 들어갔다. 13일과 15일엔 10만명 규모로 각 전국노동자대회와 정권퇴진 범국민대회 등 대규모 집회도 진행한다. 4일과 7일, 11일, 14일에는 오후 7시부터 전국 곳곳에서 정권 퇴진을 촉구하는 촛불 집회를 열 방침이다.

민주노총 전체 조합원 120만명 가운데 40만~50만명 이상이 총파업에 동참할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경찰도 대규모 집회에 대한 강경 대응에 나섰다. 기동대 24개를 임시로 추가 편성하고, 최대 155개 경찰부대를 투입하기로 한 경찰은 현장에 최대 9300명을 투입한다. 해산조치 과정에서 경찰관을 폭행하거나 불법행위를 하는 집회 참가자에 대해선 즉시 검거해 신속히 수사하고, 구속영장도 신청할 계획이다.

또한 서울경찰청은 집시법에 따라 퇴근 시간대인 오후 5~8시에 열리는 서울 도심 내 집회와 행진에 대해선 금지 통고를 내리고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한다고 밝혔다. 서울청 관계자는 이날 정례간담회에서 “합법적인 집회·시위를 보장하지만 폭력, 도로점거, 악의적 소음 등에 대해선 엄정 대응할 방침”이라며 “주최 측도 시민의 불편을 감안해 퇴근 시간 이전엔 집회를 종료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이달 총파업 투쟁 핵심의제로 △노조탄압 중단과 노조법 2·3조 개정 △일본 핵오염수 해양 투기 중단 △최저임금 인상 △민영화·공공요금 인상 철회 △공공의료·공공돌봄 확충 △과로사 노동시간 폐기·중대재해 처벌 강화 △집회·시위 자유 보장 등 7가지를 내세웠다.

민주노총 대전본부 관계자가 폭염주의보가 발효 중인 3일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총파업 돌입 선언 기자회견을 하며 얼음 깨기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