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과기정통부, VR·AR 등 실감콘텐츠 제작지원…200억원 투입

이후섭 기자I 2020.07.07 12:00:00

`실감콘텐츠 신시장 창출 프로젝트` 추진…XR 융합프로젝트 과제 등 지원

`XR 융합프로젝트` 3개 과제(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데일리 이후섭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 실감기술(XR)을 활용한 서비스 제작을 지원하는 `실감콘텐츠 신시장 창출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추경예산 200억원을 투입한다고 7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가상과 실제가 현실감 있게 공존·소통할 수 있는 기술인 XR을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을 주도해 사회활력 제고와 경제성장을 견인할 핵심기술로 주목하고, 현장의 다양한 정책적 요구를 반영해 사업계획을 준비해왔다. 지난 2월부터 총 7개 관계부처, 40여명의 민간전문가가 참여한 과제기획반을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XR을 활용한 공공·산업 현장의 생산성 혁신과 온라인 환경에서도 대면 수준의 경험, 몰입감 제공이 가능한 비대면 원격서비스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XR을 교육훈련·의료·제조분야에 적용하는 대규모 `XR 융합프로젝트` 3개 과제 지원을 위해 올해 추경예산 100억원을 투입한다. 교육훈련 분야에서는 물리적 훈련공간에 가상의 테러상황(테러범, 인질 등)을 증강해 구현한 혼합현실(MR) 기반의 테러상황 대응 교육훈련 시스템 개발을 지원한다. 의료 분야에서는 국방부와 협업해 외상상황(절단·교통사고 등)을 물리적 마네킹에 MR로 증강해 실감나게 재현하고, 응급 처치훈련을 할 수 있는 중증외상 처치훈련 시스템 개발을 지원한다. 제조설비·공간을 디지털트윈으로 구현하고, XR로 시각화해 실시간 상태 모니터링, 원격협업, 가상 시뮬레이션 등이 가능한 시스템 개발도 지원한다.

또 원격회의·협업, 교육, 전시 등 비대면 수요가 높고 XR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비대면 핵심서비스 제작을 올해 추경예산 100억원 규모(총25개 과제)로 지원한다. 비대면 환경에서도 제품 전시·홍보가 가능한 가상컨벤션 전시서비스, 가상공간에서 교육자료를 공유하고 선생님과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실감 원격교육 서비스 등의 과제를 지원할 예정이다.

송경희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비대면 환경이 일상화되면서 우리의 삶 전반에 VR·AR 등 실감기술 활용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며 “과기정통부는 VR·AR 등 실감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개발 지원 확대를 통해 우리 경제사회 전반의 디지털 전환 촉진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