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5대 금융지주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 2% 내 관리"

송주오 기자I 2024.01.18 14:37:06

가계부채, 경상성장률 이내 관리 방침에 화답
신생아특례대출 등 정책상품 변수

[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5대 금융지주가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1.5~2% 수준으로 관리하겠다고 금융당국에 보고했다. 정부가 올해 가계부채를 경상성장률 내에서 관리하겠다고 밝힌 만큼, 금융지주가 이에 화답한 셈이다. 이에 따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0% 이하로 떨어질 전망이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이 지난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기관 합동 ‘가계부채 현황 점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금융위원회)
18일 금융당국 및 금융권에 따르면 5대 금융지주는 지난 10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열린 ‘가계부채 현황 점검 회의’에서 이 같은 가계부채 증가율 관리계획을 전했다. 이는 올해 정부의 경상성장률 전망치(4.9%)의 절반 이하 수준이다.

당시 회의를 주재한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금융권 스스로 가계부채의 중요성을 당국과 인식을 공유하며 경제성장률 범위에서 가계대출이 관리될 수 있도록 금융사별 업무계획 수립시 세심히 신경써달라”며 “올해 금리여건 등을 감안해 외형확대 위주의 경영방침을 세우거나 불필요한 가수요를 유발하는 과당경쟁을 지양해달라”고 금융권에 주문했다.

금융당국의 이런 방침은 여전히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국제금융협회(IIF)의 최신 보고서(작년 3분기 기준)에 따르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0%를 넘는 국가는 한국이 조사 대상 34개국 가운데 유일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100% 이하로 줄여나간다는 방침이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21년 105.4%에서 2022년 104.5%를 기록했다. 작년에는 100.8%(잠점)으로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다만 변수는 있다. 이달말 27조원 규모로 공급되는 신생아특례대출 등 정책모기지 상품의 수요예측이 어렵다. 지난해에도 특례보금자리론이 당초 공급 목표액(39조6000억원) 초과해 40조원 이상 공급되고 있다. 신생아특례대출은 최저 1%대 금리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어 인기를 끌 것이란 분석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가계부채를 경상성장율 범위 내에서 관리하겠다고 대외적으로 밝힌 상태에서 금융지주에게 관심을 가져달라고 했다”며 “금융지주들도 이에 호응하면서 공감을 하면서 가계대출을 엄격하게 관리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