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올 연말 IPO 가능할 듯…기업가치 5.4조”

정두리 기자I 2024.05.28 15:05:16

대신증권 보고서 “충분히 확보된 수신…순로로운 여신성장 기대”
은행권 유일 CIR 20%대 진입…“상장후 CET1비율 26%까지 가능”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연내 상장을 재추진하고 있는 케이뱅크가 충분한 수신잔액과 비용효율적 구조를 바탕으로 ‘완성형 인터넷뱅크’으로 인정받았다. 향후 성장성을 고려할시 기업가치는 5조4000억원대로 추정됐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28일 ‘케이뱅크:상장 전인데 이미 완성형 인터넷은행’ 보고서를 통해 ”3월말 기준 케이뱅크의 수신 잔고는 24조원 중 핵심예금인 요구불예금은 14조9000억원으로 비중이 62%로 상당히 높다“며 ”다만 업비트 예탁금이 5조원으로 이를 제외하면 41.3%로 변동성이 큰 부분이긴 하지만 이것도 케이뱅크 수신 중 일부“라고 평가했다.

박 연구원은 ”케이뱅크의 여신잔고는 14조8000억원으로 예대율은 61.7%“라며 ”중·저신용자대출 충족 비율이 32%로 이미 요구하는 수준을 충족했기 때문에 신용대출에 집중할 필요가 없어 최근 아파트담보대출, 전세담보대출 등 담보대출 위주의 성장 중“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순이자마진(NIM)은 2.4%로 높은 수준이 유지되는데 이는 최근 핵심예금 증가에 따른 조달코스트 완화에 기인한다“면서 케이뱅크의 순조로운 성장세를 점쳤다.

박 연구권은 ”또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점은 영업이익경비율(CIR)로 2024년 1분기 기준 29%로 전 은행권 중 유일하게 20%대 진입했다“며 “전산 구축, 인력 확보가 거의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측은 이 수준의 비율이 유지될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또한 “1분기 순이익은 5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9% 증가했다“고 부연했다.

그는 이어 ”다만 보통주자본(CET1)비율이 12.4%로 높은 편은 아닌데 2021년 1조2500억원 유상증자한 금액 중 7250억원이 자본으로 인정받지 못했기 때문“이라면서 ”상장 후 자본확충까지 감안하면 CET1비율은 26%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봤다.

그는 아울러 ”(케이뱅크의) 성장성을 감안하면 올 연말쯤 상장을 예상하는제 자기자본은 2조 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기업가치는 5조4000억원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