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이창윤 1차관 첫 행보···"R&D 매니지먼트도 변화 필요"

강민구 기자I 2024.02.26 14:30:00

연구재단 PM과 간담회 개최
연구자 위한 R&D 매니지먼트 고도화 주문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이 26일 한국연구재단에서 한국연구재단 PM들과 간담회를 갖고, 올해 연구개발(R&D) 사업 과제 추진과 예산 신속집행 현황을 점검했다. 취임 이후 첫 행보다.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은 정부 정책과 사업을 연구자들에게 전달하는 핵심 중간 매개자 역할을 한다. 연구자들이 연구를 수행하고, 발전시키도록 지원해 주는 R&D 관리(매니지먼트)의 대표적인 사례다.

이날 1차관은 연구자들이 올해 계속과제 R&D를 지속 수행하려면 연구재단의 연구과제 점검 절차와 연구비 집행이 선행돼야 하는 상황에서 연구재단에서 관리하는 계속과제 점검, 추진 현황에 대해 보고 받았다.

정부의 R&D 재구조화 방향에 따라 미래 국가 유망기술이 될 수 있는 바이오, 양자, 주력기술 등 신흥 원천 기술에 대한 신규사업 기획과 R&D예산 구조 효율화, 기획·평가 등 R&D사업 프로세스 고도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연구 현장을 잘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행정과 R&D매니지먼트에 대해서도 연구재단 PM들과 논의했다. 한국형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모델을 추진하는 한계도전 전략센터의 책임 PM에게는 기술적·과학적 한계를 돌파하기 위한 R&D 기획과 관리 시스템을 주문했다. 기초·국책본부의 PM들과도 R&D매니지먼트를 발전시키기 위한 전문성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 밖에 연구자들이 단절 없는 연구를 수행하고, 학생이나 계약직 연구원 등의 인건비가 지급되지 않거나 지급 지연에 따른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R&D 예산의 신속 집행도 강조했다.

이창윤 1차관은 “세계 최초·최고의 R&D를 위해서는 연구를 관리하는 행정과 매니지먼트도 세계 최초·최고가 돼야 한다”며 “관리와 통제 중심 관료적 사고를 탈피해 연구자와 현장에 항상 귀 기울이는 연구재단이 되길 희망하며, 전문성을 최우선 가치로 연구자들이 마음껏 연구할 수 있는 과제 관리 지원체계로 혁신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