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산업 전분야에 로봇 100만대 보급…“3조 이상 투자”

강신우 기자I 2023.12.14 14:46:48

산업부,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 발표
매출 1000억 로봇 전문기업 30개↑ 육성
2000억 투자해 ‘국가로봇테스트필드’ 구축

[세종=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정부가 민간과 손잡고 2030년까지 3조원 이상을 투자해 제조업은 물론 물류·복지·안전 등 전 산업에 100만대 이상의 첨단로봇을 대폭 보급하기로 했다.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4일 만도넥스트M에서 방문규 장관 주재로 열린 첨단로봇 산업전략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방 장관은 이 자리에서 “로봇산업이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K-로봇경제’를 실현할 수 있도록 투자 확대와 해외 신시장 창출 등을 위해 범정부적으로 정책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말했다.

(자료=산업부)
산업부는 3대 핵심전략을 펼쳐 반도체, 배터리, IT 등 튼튼한 후방산업과 우수한 제조역량을 활용해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서 K-로봇경제를 실현하겠다는 구상이다.

먼저 2030년까지 민관합동으로 3조원 이상을 투자해 기술, 인력, 기업 등 경쟁력을 강화한다.

감속기 등 5개 하드웨어(HW)기술과 자율조작 등 3개 소프트웨어(SW) 기술 등 8대 핵심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내년 상반기 중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한 첨단로봇 산업을 이끌어갈 전문인력을 미래차, 드론 등 모빌리티 산업과 연계해 1만5000명 이상 양성하고 매출액 1000억 원 이상 지능형 로봇 전문기업도 30개 이상 육성한다.

또한 전 산업 영역을 대상으로 로봇을 2030년까지 100만 대 이상 대폭 보급해 생산성 향상과 사고율 저감 등 로봇의 산업적, 사회적 기여도를 높인다. 로봇기업이 국내시장을 기반으로 충분한 실적을 쌓아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 간 협력을 강화하고 해외인증도 적극 지원한다.

아울러 지능형로봇법을 전면 개편해 기술진보와 로봇산업 변화에 맞게 지원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새롭게 갖춘다. 또 개발된 로봇이 시장과 국민 눈높이에 맞게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2000억 원을 투자해 국가로봇테스트필드도 구축한다.

한편 이날 전략회의에서는 첨단로봇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로봇제조기업, 부품기업, 지원기관 등 11개 기관이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각 기관은 공동 연구개발, 시장창출, 표준화 등에 협력을 추진하기로 약속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