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에스씨엠생명과학 “중간엽줄기세포 면역조절 기전에 Ahr 관여”

김새미 기자I 2023.12.15 16:44:13

인하대 의대 전명신 교수팀과 공동연구한 결과, 국제학술지 게재
“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제 ‘SCM-CGH’의 치료 기전 제시 가능”
SCM-CGH, 임상 2상 환자모집 완료…내년 하반기 임상 결과 발표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에스씨엠생명과학(298060)은 중간엽줄기세포(MSC) 면역질환 조절기전에 아릴탄화수소수용체(Ahr)가 관여한다는 결과를 국제학술지에 게재했다고 15일 밝혔다.

에스씨엠생명과학 인천 본사 (사진=에스씨엠생명과학)
해당 연구는 에스씨엠생명과학과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과제를 수행 중인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전명신 교수팀의 공동연구로 논문 제목은 ‘중간엽줄기세포의 면역조절 기능이 아릴탄화수소수용체에 의한 eEF2K 유비퀴틴에 의해 일어난다(The aryl hydrocarbon receptor controls mesenchymal stromal cell-mediated immunomodulation via ubiquitination of eukaryotic elongation factor-2 kinase)’이다.

Ahr은 전사인자로 다이옥신 같은 환경호르몬과 결합해 세포 독성에 관여하는 물질로 알려졌다. 10여 년 전부터 브로콜리 같은 채소 내 물질 또는 장내 미생물의 분비물 등과 결합해 T세포 같은 면역세포를 조절해 장 건강 및 피부 염증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중간엽줄기세포에서의 Ahr 역할은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다.

이번 연구에선 Ahr 결핍 MSC를 이식편대숙주질환 마우스 모델에 주입했다. 그 결과 그 치료 효능이 정상의 MSC에 비해 적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그 기전으로 Ahr이 eEF2K라는 단백질의 유비퀴틴 조절을 통해 중간엽줄기세포의 면역조절 기능에 관여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밝혀냈다.

에스씨엠생명과학은 사람 중간엽줄기세포(MSC)에서도 Ahr이 면역세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에스씨엠생명과학 관계자는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현재 개발 중인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치료 효과에 대한 기전을 제시할 수 있고, 면역질환분야치료제 개발 부분에 새로운 가능성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에스씨엠생명과학의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제 ‘SCM-CGH’는 임상 2상 환자 모집을 완료해 내년 하반기 임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SCM-CGH는 개발 단계에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됐다. 회사는 2025년 SCM-CGH의 품목허가를 받고 시판과 임상 3상을 동시에 진행할 예정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