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日 시부야 둘러본 오세훈, ‘서울 대(大) 개조’ 나설까

송승현 기자I 2023.06.28 15:06:55

지하철 노선만 8개 시부야 지구…과밀 해소 목적 도시 설계
오세훈 "서울과는 맞지 않아…서울은 저층부 공공성 확대"
5일간 일본 공무 출장 마쳐…첫 적용으로 세운 상가 지목
한일 관계 경색으로 끊어진 서울-도쿄, 8년 만 공식 교류 포문

[도쿄(일본)=이데일리 송승현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27일 일본 도쿄 시부야 지구를 찾아 “서울은 고가도로를 걷어내고, 더 밝은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도시 계획을 할 것”이라며 효율적인 도시보단 공공성과 미관에 중점을 둔 도시로 바꾸겠다고 말했다. 복잡한 지하철 노선과 수많은 유동인구 탓에 지상과 지하, 상층부 간을 연결한 시부야 지구를 반면교사로 삼겠다는 얘기다.

반면, 마루노우치 지구는 서울 도시 계획의 성공 사례로 벤치마킹할 방침이다. 용적률 규제 완화와 공개공지를 맞바꾸는 정책을 적용한 마루노우치 지구의 사례를 종로 세운 지구에 첫 적용하기로 했다. 이날 시부야 지구를 끝으로 도쿄 도심 개발 현장을 둘러본 오 시장은 이후 도쿄 도지사를 만나 양국 도시 교류에 포문을 8년 만에 열기도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27일 시부야 지구 내 있는 미야시타 공원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서울시 공동취재단)
과밀 인구 해소 목적 설계 시부야 지구…“서울과는 안 맞는 디자인”

오 시장은 27일 오전 일본 도쿄 시부야구 시부야 지구 일대를 살펴보고 “오히려 서울은 지양해야 할 디자인인 것 같다”며 “(고층 건물들 사이를 공중 보행로로 연결하는 식의 도시 디자인은)최소화해야 하겠단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시부야 지구는 많은 유동 인구를 효율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도시 계획이 적용돼 있다. 같은 도쿄 내 마루노우치 지구가 보행 친화와 녹지 중심 설계였다면, 시부야 지구는 지하철 혼잡 등 과밀 문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날 현장 해설을 맡은 송준환 야마구치대 건축학과 교수는 “이곳은 녹지보다 (과밀 해소를 위한) 수직 공간을 내도록 해 용적률 완화 인센티브를 부여한 곳”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도쿄 시부야구 시부야지구 일대는 혼잡한 지하철 노선으로 인한 과밀 인구를 해소하기 위해 수직·수평적 도시계획이 적용돼 있다. 중앙에 고층 건물의 ‘도심 중추(Urban core)’를 연결하는 공중 보행로가 있다. (사진=서울시 공동취재단)
인상적인 건 지구 곳곳에 설치된 공중보행로다. 이른바 고층 건물마다 설치된 ‘도심 중추(Urban core·도심 내 상업 및 생활공간 등이 밀집한 공간)’를 기점으로 공중보행로가 연결돼 마치 하나의 공간을 이루고 있었다. 시부야 지구에는 8개 철도노선 5개 역이 맞물려 있는데, 도심 중추는 이 공간들과 수직적으로 연결돼 있다. 이를 통해 지하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지진 등 재난 상황 발생 시 지상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했다.

다만 도시 미간을 헤치고 저층부의 일조권을 침해한다는 느낌은 지울 수 없었다. 오 시장 역시 “도시가 굉장히 복잡하고 어두워서 서울에선 어울리지 않는다”며 “어두워지는 것도 문제지만, (보행교) 아래로 상권이 죽어 꼭 필요한 부분에만 설치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무엇보다 이런 디자인은 고령화 문제를 겪고 있는 우리나라에도 ‘배리어프리(barrier-free)’차원에서도 좋지 않다고도 덧붙였다. 배리어프리란 장애인이나 노인 등 사회적 약자들이 편하게 살아갈 수 있게 물리적인 장애물, 심리적인 벽 등을 제거하는 정책을 말한다.

일본 도쿄 시부야구 시부야지구 일대에 위치한 도심 중추(Urban core)’의 모습. 각 각도심 중추는 지하로 연결돼 있어 지진 등 재난 상황 시 신속하게 지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사진=서울시 공동취재단)
세운 지구 상가 시작으로 ‘서울 대(大)개조’…8년 만 도쿄 도지사 면담

시부야 지구를 끝으로 도쿄 도심 개발 현장 시찰을 마친 오 시장은 서울 도심 계획에 적극 활용해 ‘서울 대(大)개조’에 나선다. 핵심은 건물로 밀집한 저층부의 시민 개방성을 확대하고, 녹지율을 끌어올리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마루노우치 지구는 민·관이 협력한 도시 재개발로 2000년대 초반 낙후된 지역 이미지를 벗어던졌다. 현재는 글로벌 경제력을 갖춘 지구로, 동시에 녹지와 시민 보행이 특화된 지역으로 변모했다. 핵심은 건물의 용적률을 사고팔 수 있는 ‘공중권(空中權)’이다. 일본 정부가 용적률 규제를 완화해 주는 대신 건물 저층부를 공개공지로 받은 뒤 보행 친화 공간 또는 녹지로 조성할 수 있게 했다.

오 시장은 세운 상가를 시작으로 서울 도심 곳곳을 시민의 공공성이 보장되고, 녹지가 풍부한 곳으로 변모시키겠단 계획이다. 쉽게 말해 용적률 규제를 완화해주는 대신 공개공지를 늘리겠단 구상이다. 더 나아가 이 같은 방침을 서울의 ‘가이드라인’으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오 시장은 같은 날 고이케 유리코 도지사를 만나 양국 도시 교류를 활성화하자고 제안했다. 서울시장과 도쿄도지사 간의 공식 면담은 약 8년 만이다. 또 도쿄 도심을 살펴본 소회를 공유하며, 서울시의 정책 수립에 참고하는 등 정책 교류에 대한 이야기도 나눴다.

오세훈(왼쪽) 서울시장이 지난 27일 일본 도쿄도청에서 고이케 유리코 도지사와 면담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서울시 공동취재단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