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김 총리 “청년 문제, 개인이 아닌 시대 구조적 문제…청년특별대책 마련”

최정훈 기자I 2021.08.26 14:00:00

제4차 청년정책조정위원회 회의 “청년특별대책 심의·확정 예정”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김부겸 국무총리가 청년 세대 문제에 대해 “청년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시대환경의 구조적 요인에 기인한 면이 크다는 점에 우리는 주목해야 한다”며 청년특별대책을 마련한 이유를 설명했다.

김부겸 국무총리가 25일 오후 충북테크노파크에서 열린 테크노파크 기관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김 총리는 26일 서울 공덕 프론트원에서 제4차 청년정책조정위원회 회의를 주재해 “최근 우리 청년세대가 많이 힘들어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18개 부처가 합동으로 마련한 ‘청년세대 격차해소와 미래도약 지원을 위한 청년특별대책’이 심의·확정될 예정이다.

김 총리는 “대책 수립과정에서 청년들과의 소통을 통해 많은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쳤고, 그 과정에서 청조위 민간위원님들의 역할이 큰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번 대책은 청년세대 격차 해소에 방점을 두고 교육이나 주거, 복지 등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두텁고 넓은 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김 총리는 이어 “특히 대학 등록금을 중산층까지 반값 수준이 될 수 있도록 국가장학금 지원을 확대하고, 청년내일저축계좌 등 소득수준별 맞춤형 자산형성 지원정책을 준비했다”며 “또한, 주거 사다리를 통해 주거환경의 개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소득층 청년의 월세 지원에서부터 내 집 마련을 위한 지원정책 보완까지 단계별 청년주거복지 정책을 강화했다”고 전했다.

김 총리는 “그리고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특히 어려워진 취업 여건을 극복할 수 있도록 구직활동에서부터 재직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필요정책을 보완하고, 한시적으로 운용하던 일자리 지원정책들을 일괄 연장하여 계속 지원할 계획”이라며 “이 외에도 청년들의 참여와 권리 문화 등의 지원 폭을 넓히는 등 청년의 삶 전반을 포괄하는 87개의 과제를 담아 청년의 꿈을 응원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그러면서 “이제부터 중요한 것은 어렵게 수립한 세부 정책과제들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되어 청년 삶의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라며 “각 부처는 설계된 사업들이 원활히 집행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미리미리 준비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 총리는 “특히 강조하고 싶은 것은 정책 수혜 청년들이 정책을 알지 못해 대상에서 배제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며 “다양한 수단과 방법을 통해 청년과의 소통에 만전을 기해주시기 바란다”고 전했다.

김 총리는 “대한민국의 미래는 바로 청년이다. ‘N포세대’라는 자조적인 표현이 우리 청년의 수식어가 되어서는 안 된다”며 “청년 앞에 희망과 성공의 단어가 자리 잡도록 지혜를 모아주시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