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한전은 B인데, 가스공사는 D'…경평 결과 엇갈린 까닭은

윤종성 기자I 2024.06.19 14:33:27

"한전, 적자폭 개선에 정부 정책 충실히 이행"
가스公, 재무· 안전·윤리 등 대체로 미흡 평가
A등급에 남동·남부발전·한수원·한전KPS 포진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정부의 요금 억제 정책으로 실적이 부진했던 한국전력(015760)공사와 한국가스공사(036460)가 경영평가에서 희비가 갈렸다. 두 공기업 모두 지난해 C등급(보통)을 받았으나, 이번에 한전은 B등급(양호)으로 상승한 반면, 가스공사는 D등급(미흡)으로 주저앉았다.

정부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 결과 및 후속 조치안’을 의결했다.

양대 에너지 공기업인 한전과 가스공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국제 에너지 가격 인상분을 요금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면서 재무구조가 악화한 공통점을 갖고 있다. 다만 한전은 녹록지않은 대내외 경영환경 속에서도 적자 폭을 크게 개선한 데다, 직무 중심의 보수체계 전환 등 정부 정책을 충실히 이행해 후한 점수를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C등급을 받았던 한전은 올해 B등급으로 상승했다. 김동헌 공기업 평가단장(고려대 경제학과 교수)은 “한전은 2022년에 약 25조 2977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는데, 2023년에는 3조 2492억 원으로 무려 22조원 이상 줄었다”며 “재무성과가 굉장히 개선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새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직무 중심 보수체계 전환 부분에서 굉장히 선도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고, 전략기획 및 경영혁신 노사관계 등에서 양호한 평가를 받았다”면서 “전력판매 및 수요관리 사업의 경우 에너지 캐시백 프로그램을 잘 활용해 전년대비 약 22배 증가했고, 그 결과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했다”고 부연했다.

반면 가스공사는 실적이 악화된 점이 등급 하락의 결정적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김 단장은 “가스공사의 경우 2023년 매출액이 전년대비 8.5%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37%(약 9100억원)나 줄었다”며 “당기순이익은 2022년 1조 4970억원에 달했지만, 2023년에는 적자로 전환하는 등 재무 성과가 전반적으로 악화했다”고 지적했다.

LNG선 핵심기술에 대한 국부 유출을 막기 위해 개발한 KC-1 선박 관련 손실이 발생한 점도 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김 단장은 “KC-1 선박의 결빙현상을 해결하려 1000억원을 들여 수리를 했는 데도 운항을 못해서 결국 삼성중공업과 SK해운에 3246억원을 보상하는 등 핵심 사업에서 성과가 미흡했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인명사고가 나고, 비위사고가 발생한 것도 등급 하향의 원인이 됐다. 김 단장은 “사망사고 만인율이 상승해 공공기관 재난관리 평가 등급이 하락하는 등 안전관리, 윤리, 핵심사업 등에서 전반적으로 가스공사에 대한 평가가 낮았다”고 설명했다. 어느 한 가지 지표가 안 좋다고 해서 D나 E등급을 주지는 않는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한편, 이번 경영평가에서 한전 발전 자회사를 비롯해 에너지 공기업들이 약진한 것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A등급에 남동발전, 남부발전,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지역난방공사, 한전KPS가 이름을 올렸고, B등급에는 한국가스기술공사, 동서발전, 중부발전, 가스안전공사가 포함됐다.

김 단장은 “경영관리 적정성과 주요사업 이행 성과를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평가했다”며 “재무의 예산성과가 다소 부진하더라도 다른 경영실적이 양호한 경우에는 의미 있는 평가 결과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