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내 크리에이터 산업, 매출 규모 4.1조…종사자 3.5만명

한광범 기자I 2024.01.10 12:00:00

'크리에이터 미디어산업 실태조사' 발표…첫 국가통계
다수가 영세업체…매출 5억 이하 69%·'5인 미만' 81%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유튜버 등 국내 디지털 크리에이터 산업 생태계의 매출 규모가 4조원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는 3만5000명을 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는 10일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디지털 크리에이터 미디어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디지털 크리에이터 미디어 분야 최초의 국가통계다.

이번 실태조사는 과기정통부가 2년 간 실시해 온 ‘1인 미디어 산업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디지털 크리에이터미디어 산업 분야의 시장분석을 통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과 민간 의사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추진됐다.

(과기정통부 제공)
디지털 크리에이터미디어 산업 관련 국내 사업체를 대상으로, △영상 제작 및 제작 지원 △광고·마케팅, △매니지먼트(MCN) △온라인 비디오 공유 플랫폼 등의 4가지 업종으로 구분해 △사업현황 △인력현황 △콘텐츠 제작 및 인프라 현황 등을 조사했다.

디지털 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 관련해 △사업체 수는 1만1123개 △매출액은 4조1254억원 △종사자는 3만5375명 △사업체당 연평균 콘텐츠 제작 건수는 62.3편이었다.

사업체들 중 영상제작 및 제작지원 업체가 전체의 72.7%로 가장 많았고 광고·마케팅(19.3%), 매니지먼트(MCN)(7.4%) 온라인 비디오 공유 플랫폼(0.6%) 등이 뒤를 따랐다. 업체들의 68.7%는 매출액 ‘5억원 미만’이라고 응답했고, 5인 미만 종사자 비중은 81.2%에 달해 영세 사업체 비중이 높았다.

종사자들 중 30대 이하는 64.9%로 청년층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직별로는 제작·개발 인력이 전체의 41.6%로 비중이 가장 컸고 영업·마케팅(24.7%), 디자인(13.9%)이 뒤를 따랐다.

콘텐츠 자체 제작 사업체는 전체의 82.4%였고 연평균 62.3편을 제작하고 있었다. 사업체의 86.6%가 장비, 11.8%가 스튜디오, 78.7%가 인력 등 관련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콘텐츠 해외 수출 경험이 있는 사업체는 2%에 불과했다.

(과기정통부 제공)
최준호 과기정통부 방송진흥정책관은 “디지털 크리에이터미디어 산업은 ‘창작자 경제’에 대한 글로벌 흐름과 함께 단기간 큰 성장을 보이고 있는 미래 미디어 산업의 동력”이라며 “실태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디지털 크리에이터미디어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