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고령자 위한 '공공임대주택' 8만 가구 신규 공급

김용운 기자I 2020.04.01 11:00:00

주거복지로드맵 2.0 구체화
2025년까지 65세 어르신 위한 특화 공공임대 공급

[이데일리 김용운 기자] 정부가 65세 이상 고령자를 위한 신규 공공임대주택 8만 가구를 공급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3월 20일 발표한 주거복지로드맵 2.0에 따라, 고령자 전용 공공임대주택 공급과 어르신 맞춤 주택 리모델링·집수리 지원 등 본격적인 추진 계획을 1일 밝혔다.

우선 65세 이상 저소득 어르신(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 평균소득의 50% 이하)을 위한 고령자 복지주택을 오는 2025년까지 총 1만 가구 공급한다. 고령자 복지주택은 높이조절 세면대와 안전 손잡이 등 무장애 특화시설을 갖춘데다가 사회 복지시설을 같이 공급해 어르신 계층에서 선호도가 높았다.

올해 공급 예정인 고령자 복지주택(사진=국토교통부)
올해 입주자를 모집하는 고령자 복지주택은 광양칠성(150가구) 등 총 6곳 682가구다. 특히 이 중 영덕영해(124가구)는 바람 길을 고려한 쾌적한 단지계획이 적용되어 있고 물리 치료실, 공동 세탁실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함께 있어 어르신들의 선호가 매우 높을 것으로 보인다.

고령자 복지주택 외에도 국민임대·행복주택 등 신규로 건설되는 공공임대주택과 매입·전세임대주택을 활용한 고령자 주택도 2025년까지 7만 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 중 신규로 건설되는 공공임대주택의 경우, 문턱제거, 안전바 설치, 높낮이 조절 세면대 등 주거약자를 위한 특화 설계를 반영해 고령자에게 공급하며 수도권은 신규 공급호수의 8%, 지방권은 5%가량이 이에 해당 한다.

매입임대의 경우, 고령자에게 공급되는 주택은 신규 건설형 공공임대주택과 같은 특화설계가 반영되도록 맞춤형 리모델링을 추진한다. 올해는 서울·인천 등 총 12개 지역 700가구의 입주자를 모집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기존에 공급되었던 고령자 공공임대주택은 주거복지 전문인력 배치, 케어안심서비스 등을 통해 주거서비스를 강화한다. 올해는 영구임대주택 10단지와 매입임대주택 10단지, 총 20개의 주택단지에 주거복지 전문인력을 배치하여 고령자·취약계층에게 밀착형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저소득 고령자가 거주하고 있는 주택에서 계속 머물 수 있도록 도배·장판, 싱크대, 냉·난방시설 등 노후시설 수선비를 지원하는 집수리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집수리 사업은 중위소득 45%이하인 고령자에게 주택 노후도에 따라 최대 1241만원까지 지원하는 사업이다.

집수리 사업은 기존 거주지를 떠나지 않으면서도 주거 편의성이 개선된 주택에서 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올해에는 노후 주택에서 거주 중인 저소득 고령가구 1만4000 세대에 대해 집수리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