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高유가·물가에 '가짜석유'·'재난지원금 현금화' 관련 검색 급증

양희동 기자I 2022.07.05 12:00:00

행안부, 포털서 328억건 검색 분석 결과 공개
유가 관련 검색량 올 1분기 전분기比 2.7배 증가
가짜석유 관심 급증 및 재난지원금 현금화 검색 늘어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올 들어 국제 유가 급등으로 휘발유 가격이 1ℓ당 2000원을 넘는 고공행진을 펼치면서, ‘세녹스’ 등 가짜석유 관련 검색량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물가가 뛰면서 재난지원금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의심되는 검색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정책수립 지원을 위한 현안(이슈) 검색어 분석을 시행, 가짜석유 및 각종지원금 불법 유통 경로 등을 확인한 분석 결과를 공개한다고 5일 밝혔다.

(자료=행정안전부)
이번 데이터 분석은 포털 검색어를 기반으로 시행됐다. 분석에는 최근 2년간 포털 사이트에서 수집된 일자별 검색어 328억 건과 검색어 간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는 최근 4개월간의 비식별화된 사용자별 검색어 99억 건이 사용됐다. 이를 통해 최근 고유가 상황과 맞물려 가짜석유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재난지원금을 현금으로 할인받기 위한 수단들도 검색됐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가관련 검색은 올 1분기 동안 지난해 동기 대비 2.7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가와 관련된 ‘기름값’, ‘경유가격’, ‘주유소 가격비교’ 등의 검색량이 크게 증가했다. 유가를 검색한 사용자들의 경우 ‘전기차’, ‘전기자전거’ 등 석유를 사용하지 않는 대체 교통수단을 추가로 검색하거나 ‘천연가스’, ‘면세유’, ‘세녹스’ 등 석유 대체품과 관련된 검색을 많이 한 것으로 확인됐다.

행안부는 이 가운데 ‘면세유’와 ‘세녹스’는 불법적인 유통경로 탐색과도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돼, 가짜석유와 면세유에 대한 검색 동향을 관계기관과 공유할 방침이다. 또 재난지원금과 관련한 연관 검색어 분석을 통해 재난지원금을 본래 취지와 다르게 현금으로 불법 할인하기 위한 시도도 파악됐다.

재난지원금을 검색한 사용자 중 일부는 ‘카드깡’, ‘재난지원금 금은방(귀금속 구매 후 현금화)’, ‘재난지원금 문화상품권(문화상품권 구매 후 현금화)’, ‘재난지원금 현질(온라인 게임아이템 교환)’과 같은 검색 용어를 사용해 불법할인과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행안부는 이번 분석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각종 지원금 및 보조금 지급과 관련하여 관계기관과 함께 부적절한 유통경로에 대한 점검(모니터링) 및 사전 차단 대책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박덕수 행안부 공공데이터정책관은 “이번 분석은 검색어를 통해 국민 관심사를 확인하고, 사회문제에 대한 징후를 사전에 포착하여 데이터 기반의 정책수립을 지원하는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우리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분석을 지속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세녹스 검색량 추이. (자료=행정안전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