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큰 규모 여진가능성…사전 대비태세 유지"

최오현 기자I 2024.06.13 14:13:37

행안부 13일 전북 부안 지진 관련 중대본 회의
향후 일주일 간 강한 여진 가능성…주의 필요

[이데일리 최오현 기자] 정부가 전북 부안군에 발생한 지진과 관련해 향후 일주일 간 큰 규모의 여진 발생 가능성이 예상된다며 철저한 대비를 강조했다.

이한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이 13일 오후 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전북 부안군 지진 발생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며, 관계기관의 지진대처사항을 점검하고 있다.(사진=행정안전부)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13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전북 부안 지진 대비 태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했다. 이 본부장은 “전문가 자문에 따르면 향후 일주일 정도는 큰 규모의 여진 발생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며 “철저한 상황관리와 대비태세 유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본부장은 관계부처에 “지진으로 피해 발생 시 중앙사고수습본부대응체계로 신속히 전환할 수 있도록 사전에 준비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각 기관에서는 소관 시설물에 대해 다시 한번 안전점검을 실시해 추가 지진발생에 대비해달라”고 말했다.

전날 전북 부안에서 본진으로 추정되는 규모 4.8 지진 발생 이후 이날 오후 1시까지 17번의 여진이 발생했다. 이 본부장은 “주민들이 불안해하지 않고 조속히 일상에 복귀할 수 있도록 신속한 대응과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민간 피해시설물은 위험도평가단을 통해 신속히 안전점검을 실시해 주시기 바라며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조치도 철저히 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행안부는 피해 최소화를 위해 지진발생 즉시 중대본을 가동하고 관계부처와 지자체의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하면서 총력 대응 중”이라고 덧붙였다. 행안부는 지진 발생 직후 현장관리상황관을 현장에 급파하고 지진 위험단평가단을 통해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교육부는 진앙지 인근 50㎞ 안에 있는 학교 1230개교에 현장대응팀을 파견해 피해 상황파악 및 점검했다. 아울러 국토부는 도로, 철도, 항공 등 주요 사회기반시설을 살피고, 산업부는 원자력 등 에너지 관련 시설에 전문가를 파견해 안전진단을 실시했다. 한편 이날 오전 11시까지 집계된 피해는 시설물 피해 277건, 국가유산피해도 6건 등이다. 인명피해와 대규모 피해는 없었지만 벽체 균열 등 소규모 시설물 피해 접수는 증가하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