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우크라 사태에 美 긴축까지…금융불안지수, 주의 단계 임박

최정희 기자I 2022.03.24 11:00:00

한은, 3월 금융안정 상황 점검
2월 7.4로 주의 단계 8에 근접, 1년래 최고
금융취약성 지수 54.2, 하락세이나 높은 수준
금융기관 위험투자, 8년 전 대비 두 배 증가
성장률 1.8%·물가 4.0%라도 금융기관 대외 충격 견딜만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미국의 긴축 신호 등에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금융불안지수’가 주의 단계에 임박했다. 향후 2년간 경제성장률이 1.8%로 고꾸라지고 물가가 4.0%로 치솟을 경우 모든 금융기관의 자본비율이 하락하겠지만 규제비율은 넘어서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출처: 한국은행)


◇ 금융기관, 자금 조달 여건 악화…자산가격 급락 우려


한국은행은 24일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3월 금융안정 상황을 점검했다. 한은은 6월과 12월 금융안정보고서를 발간하고 금통위 의결을 거쳐 국회에 제출하는데 3월과 9월엔 금융안정 상황만 점검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단기 금융시스템 상황을 보여주는 ‘금융불안지수(FSI·financial stress index, 전 금융안정지수)’는 2월 7.4로 주의 단계 임계치인 8에 근접했다. 1년 전인 작년 2월(7.7)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금융불안지수는 2020년 팬데믹 과정에서 24.4까지 치솟아 위기단계(20)를 넘어서기도 했다.

금융불균형 상황과 금융기관 복원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금융취약성지수(FVI)는 작년말 54.2로 2개 분기 연속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란 평가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중장기적 관점에서 금융시스템 내 잠재 취약성은 여전히 높은 수준인 가운데 대내외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다”며 “민간부채 누증, 코로나19 금융지원 지속 등으로 대출 부실위험이 이연되면서 리스크가 누적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최근 국내 안정 상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내외 금융·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이 크게 증대됐다”며 “우크라 사태 악화, 러시아 경제제재,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등으로 금융·외환시장 변동성이 수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금융기관 자금조달·운용 여건이 악화되고 자산가격이 급격하게 조정을 받을 위험이 커졌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작년 5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테이퍼링(자산매입 규모 축소)을 논의한 이후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1.59%에서 올 3월 5일 2.14%로 0.55%포인트 가량 상승했고 스탠더드앤푸어스(S&P)500지수는 올 들어 10.6% 떨어졌다. 우리나라 역시 코스피가 작년 5월 이후 18.2% 급락했고 원·달러 환율이 11.9% 하락해 원화 가치가 하락했다. 10년물 국고채 금리는 0.57%포인트 올라, 가격이 떨어졌다.

(출처: 한국은행)


◇ 위험 투자 늘어 금융시스템은 취약해져


문제는 금융시스템 내 취약 요인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기관의 회사채, 금융채, 수익증권 등 신용물 채권(국공채 및 특수채 제외) 같은 위험 투자 익스포저가 2013년말 422조3000억원에서 작년말 861조6000억원으로 두 배 증가했다. 금융투자자산 중 위험투자 자산의 비중도 이 기간 52.7%에서 57.9%로 늘어났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의 신용물 채권 규모는 작년말 430조4000억원, 보험사와 증권사는 각각 235조7000억원, 179조원으로 집계됐다. 여전사는 16조5000억원 규모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은 보험사, 여신전문회사 중심으로 3.2배 급증했다. 31조8000억원에서 100조6000억원으로 늘어난 것이다.

금융기관의 해외투자 규모도 43조원에서 189조6000억원으로 4.4배 증가했다. 수익률을 쫓아 해외투자를 늘린 것이다. 해외채권과 대체투자 등은 각각 34조8000억원, 8조2000억원에서 160조5000억원, 29조1000억원으로 급증했다.

특히 증권사의 경우 직접적인 해외 투자는 아니지만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에 취약한 주가연계증권(ELS) 등 파생결합증권 발행규모가 작년말 83조4000억원으로 상당한 규모에 이른다.

채권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도 급증했다. 증권사와 여전사의 시장성 자금조달 규모는 각각 94조6000억원, 93조8000억원에서 226조7000억원, 229조3000억원으로 급증했다. 특히 증권사는 환매조건부채권(RP), 단기 사채 등 단기 시장성 수신이 92조7000억원에서 208조2000억원으로 늘어났다.

금융기관간 상호연계성도 강화돼 한 곳이 파산하면 도미노로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상호연계된 금융기관간 익스포저는 1582조원에서 작년 9월말 3191조원으로 급증했다. 비은행금융기관간이 1906조원, 비은행금융기관과 은행간이 1137조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시장성 자금조달 비중과 위험 투자 비중이 높은 금융투자업권의 상호거래 규모도 850조원에서 2105조원으로 급증했다.

한은은 금융시스템이 취약해졌지만 국내 금융기관은 대외 충격을 충분히 감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우크라 사태가 악화되고 대내외 물가가 급등, 올해와 내년 연 평균 성장률이 1.8%, 물가상승률이 4.0%를 기록하고 국고채 금리가 1.70%포인트나 오르는 최악의 상황이 온다고 해도 모든 금융기관의 자본비율은 규제 비율을 상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은은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모든 업권의 자본비율이 떨어지지만 규제비율은 상회한다”며 “은행 등 예금취급기관의 경우 성장률 둔화 등에 따른 부도율 상승으로 신용손실이 증가하지만 금리 상승과 예대금리차 확대에 따른 이자 이익 증가로 부정적 영향이 일부 상쇄된다”고 밝혔다. 다만 “채권 등 유가증권 투자 규모가 큰 보험사, 증권사 등은 금리 상승에 따른 시장 손실로 자본비율이 예금취급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하락한다”고 덧붙였다.

우-러 전쟁

- HD현대건설기계, 우크라이나 인프라부 1차관과 재건사업 협의 - "미 CIA, 우크라에 노르트스트림 파괴하지 말라고 경고" - 우크라이나 반격에 러시아도 맞불…푸틴 "적군 성공 못해"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