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경기·경북·울산 등 5곳 `소프트웨어 미래채움`사업 추가 선정

이후섭 기자I 2020.06.25 12:00:00

과기정통부, 지역 소프트웨어교육 확대 지원…총 10개 지자체 선정
3년간 국비 지원 및 자체 예산 투입해 채움센터 운영, 전문강사 양성

[이데일리 이후섭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소프트웨어교육 기회가 부족한 지역에 소프트웨어교육장을 운영하고 지원하는 `2020 소프트웨어미래채움` 사업 수행기관 5개 광역지자체를 추가 선정했다고 25일 밝혔다.

해당 사업은 2018년 소프트웨어교육 의무화를 계기로 지역·소득별 소프트웨어교육 격차 해소를 위해 지난해 강원도, 경상남도, 인천광역시, 전라남도, 충청북도 5개 지역을 선정해 추진됐다. 올해 경기도, 경상북도, 울산광역시, 충청남도, 제주특별자치도가 추가 선정되면서 전체 10개 광역지자체로 확대됐다.

지역 내 양질의 소프트웨어교육 제공을 위해 체험교육장 구축, 전문강사 양성 및 초·중등학생 대상 교육프로그램 제공 등이 주요 사업으로 추진됐으며, 지난해 500여명의 경력단절여성·취업준비자 등을 소프트웨어교육 전문강사로 채용해 지역 일자리를 창출했다. 또 도서벽지학교·지역아동센터 등 방문교육 등을 통해 총 2만2322명의 초·중등학생에게 양질의 소프트웨어교육을 제공하는 성과를 거뒀다.

올해 추가 선정된 5개 광역지자체는 코로나19로 어려워진 지역 재정 여건 하에서도 각 지역 특성을 반영한 소프트웨어교육 방식과 사업 계획을 제시했다. 경기도는 판교 스타트업 캠퍼스, 로봇체험센터 등 지역 내 다양한 인프라를 활용해 수원과 의정부 2개 지역에 소프트웨어미래채움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경상북도는 산간벽지 비율이 높은 지역 특성을 반영해 북부(안동)와 남부(포항) 2개 권역에 방문·체험 공간을 만들어 재난안전, 관광 등을 주제로 지역특화 커리큘럼을 마련할 예정이며, 울산광역시는 조선해양 하이테크타운(울산정보산업진흥원) 내에 채움센터를 구축, 울산과학대·UNIST 등 IT분야 전공학부와 연계해 지역특화산업인 조선해양 분야 커리큘럼 등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 제주특별자치도는 스마트 아일랜드를 주제로 카카오·제주대학교 등과 산·학·연 협력 체계를 유지해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3개 채움센터를 운영할 예정이며, 충청남도는 남서울대학교 지식정보관(천안)에 채움센터를 구축해 농축산바이오, 자동차 부품 등 지역산업과 연관된 소프트웨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에 추가 선정된 5개 광역지자체는 앞으로 3년간 국비 지원과 자체 예산 투입을 통해 사업 계획에 맞게 센터 구축, 전문강사 양성 등 지역 내 소프트웨어교육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올해부터 소프트웨어미래채움 사업이 10개 광역지자체로 확대·운영됨에 따라 정보소외계층의 정보 접근 혜택이 한층 높아져 디지털정보격차 해소 및 소프트웨어교육 공백 최소화 등 교육 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송경희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코로나19 등 어려운 여건 아래에서도 소프트웨어교육의 양적·질적 확대 기반이 지역에 마련된 만큼 이를 계기로 자생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생태계가 뿌리내릴 수 있도록 힘써 주길 바란다”며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 맞춰 신기술을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지역 인프라가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간 협업을 통해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