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95일만에 물러난 이동관 "尹 충정에서 사퇴…野 심판해달라"

한광범 기자I 2023.12.01 15:01:38

면직안 재가 후 기자회견 통해 "사퇴 꼼수 아니다"
"민주당, 헌정질서 유린…앞으로도 계속 싸울 것"
회견 말미에 "언론정상화의 기차는 계속 달릴 것"

국회의 탄핵안 처리를 앞두고 취임 95일 만에 사퇴한 이동관 전 방송통신위원장이 1일 오후 정부과천청사 내 방통위에서 기자회견을 한 후 청사를 나와 차에 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탄핵안 표결을 앞두고 자진사퇴한 이동관 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1일 “오직 국가와 인사권자인 대통령을 위한 충정에서 사퇴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탄핵안을 주도한 더불어민주당에 대해서 “국민들이 준엄한 심판을 내려달라”고 했다.

이 전 위원장은 이날 오후 정부과천청사 내 방통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위원장직을 오늘 사임한다. 위원장직을 사임하는 것은 거야의 압력에 떠밀려서가 아니고, 야당이 주장하는 것처럼 정치적 꼼수는 더더욱 아니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지금 거대 야당이 국회에서 추진 중인 저에 대한 탄핵소추가 이뤄질 경우 그 심판 결과가 나오기까지 몇 개월이 걸릴지 알 수가 없다”며 “그동안 방통위가 사실상 식물상태가 되고 탄핵을 둘러싼 여야 공방 과정에서 국회가 전면 마비되는 상황을, 제가 희생하더라도 피하는 것이 공직자의 도리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위원장은 민주당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거대 야당이 숫자 우위를 앞세워 밀어붙이는 탄핵의 부당성에 대해선 이미 국민 여러분께서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런 탄핵 폭주는 비판 받아서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회의 권한 남용해 마구잡이 탄핵 남발하는 민주당의 헌정질서 유린행위에 대해선 앞으로도 그 부당성을 알리고 계속 싸워나갈 것”이라며 “국민들이 거야 횡포에 대해 준엄한 심판 내려달라”고 말했다.

이 전 위원장은 “저는 어떤 자리 있더라도 대한민국의 글로벌 미디어 강국 도약과 윤석열 정부 성공 위해서 제 역할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준비해 온 기자회견문 낭독 말미에 “마지막으로 드리고 싶은 말씀이 하나 더 있다”며 “언론정상화의 기차는 계속 달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야당 추천 방통위원을 추가로 임명하면 방통위 운영이 가능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방통위 구성이 ‘3 대 2’ 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은 숙의와 협의를 하지만 그래도 여당이 어떤 상황과 결정을 주도한다는 정신 때문”이라며 “(추가 임명이 된다면) ‘2 대 2’ 구조가 돼 꽉 막힌 구조가 되면 식물상태가 되는 것은 똑같다”고 답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이 전 위원장이 ‘언론 장악’에 앞장서고 있다며 탄핵소추안을 전날 국회 본회의에 보고하고, 1일 오후 처리할 예정이었다. 이 전 위원장은 탄핵안 국회 본회의 보고 당일 저녁 윤석열 대통령에게 자진 사퇴의 뜻을 표명했다.

그는 탄핵안 통과 시 수개월 간 직무정지로 방통위 마비 상태가 올 것을 우려해 자리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국회에서의 탄핵안 표결을 앞두고 이날 점심 무렵 이 전 위원장의 사의를 수용해 면직안을 재가했다.

방통위는 이 전 위원장 사퇴로 이상인 부위원장이 위원장직 대행을 맡게 된다. 현재 방통위원이 1인만 남은 상황이라 추가 위원 임명 전까지 당분간 식물상태를 벗어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