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인천 공촌外 정수장 6곳서 유충 발견…"서울·부산은 배수구 문제"

최정훈 기자I 2020.07.21 11:00:00

전국 정수장 49개소 긴급점검 결과…전국 7곳 정수장서 유충 발견
인천 외에는 지역서는 활성탄지에서만 유충 발견…배수지·수용지 등 없어
공촌·부평정수장, 남은 유충만 배출되면 해소…서울·부산, 배수구 문제 추정
벌레 발견 민원 즉시 현장 조사 지원…인천은 재발방지 대책도 마련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인천 지역의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된 이후 정부가 전국을 긴급점검하자 7곳의 정수장 활성탄지에서 유충이 발견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인천 공촌과 부평 외에는 물을 직접 사용하는 곳까지 유충이 흘러가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서울과 부산의 발견 민원은 배수구에서 유충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난 14일 밤 인천시 강화군 수돗물에서도 유충이 나왔다는 신고 1건이 시 상수도사업본부에 접수됐다. 사진은 강화군 지역 맘카페에 올라온 사진.(사진=연합뉴스)
환경부는 최근 인천 지역 수돗물 유충 민원의 원인으로 지목된 활성탄지가 설치된 전국 정수장 49개소에 대해 지난 15일부터 17일까지 긴급점검을 실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점검 결과 인천 공촌·부평정수장을 포함한 7개 정수장에서 유충이 소량 발견되고 12개 정수장은 방충망 미설치 등 운영상 문제가 지적됐다. 유충이 소량 발견된 정수장은 문제가 된 인천 공촌을 비롯 △인천 부평 △경기 화성 △김해 삼계 △양산 범어 △울산 회야 △의령 화정정수장 등이다.

인천 이외의 지역은 활성탄지 표층에서 유충이 발견됐지만 정수장 후단 배수지·수용가에서는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다. 또 유충 발견 이후 즉시 활성탄 교체 또는 세척·오존 주입율 상향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활성탄지 외에도 관로 말단 및 배수지에도 거름망을 설치해 확인 중이나 현재까지 유충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 문제가 지적된 정수장은 오는 23일까지 보완조치를 완료하고 그 사항을 환경부에 보고하도록 조치했다.

환경부는 인천 수돗물 유충의 발생 원인을 정수장 내 활성탄지에서 부화된 유충이 걸러지지 않고 정수장, 배수지를 거쳐 가정까지 공급된 것으로 설명했다. 또 공촌과 부평정수장 계통에서의 유충 추가 발생은 차단됐고 아직 급·배수 관로 상에 남아 있는 유충만 배출되면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어 전국 일반 정수처리장 435개소 역시 지난 17일부터 긴급 전수조사를 개시했고 이번 주 중 완료해 정수장 안전관리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20일까지 인천 외 서울, 부산, 화성 등 다른 지역에서도 수돗물에서 벌레 유충이 발견됐다는 민원 총 19건이 보도됐다. 지자체와 환경청, 유역수도지원센터 등이 공동으로 현장 조사한 결과, 수돗물 공급 과정에서의 문제는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의 경우 오피스텔 욕실 바닥에서 유충이 발견됐지만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되지는 않았고 배수구 등 외적 요인을 통한 발생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판단했다. 부산의 경우 모기·파리 유충이 발견됐지만 조사 결과 하수구 등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고 화성·파주 등 다른 지역 역시 정수장·배수지·저수조 등에서는 유충이 발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돼 배수구 등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정수장 개방형, 밀폐형 비교(사진=환경부 제공)
이날 환경부 장관 주재로 전국 17개 시·도 부단체장과 영상회의를 개최해 정수시설·배수지·저수조 등의 철저 관리를 지시하는 등 수돗물 안전관리를 최우선으로 시행할 것을 당부할 계획이다. 특히 창문 및 출입문의 벌레 유입차단 설비 설치, 활성탄지 주변 물 웅덩이 제거 등을 통해 유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수장의 환경관리를 철저히 할 것을 지시할 예정이다.

또 벌레를 발견 민원이 제기되면 즉시 관할 지방 환경청에 보고할 것을 요청하고, 신속한 문제 해결을 위한 현장 조사 및 대응에 유역수도지원센터의 전문인력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특히 주민불안 방지를 위해 각 지자체는 민원이 접수되면 발생원인 등을 분석해 홈페이지 등에 정보를 신속히 공개하고, 여름철 벌레 등의 발생이 일상화될 수 있는 바 특이사항 발견하면 주민은 즉시 지자체, 환경청 등 관할 부서에 신고해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현재 공촌·부평정수장의 유충 발생의 원인 파악을 위해 인천시와 한강유역환경청이 공동으로 지난 16일 인천 수돗물 유충 관련 전문가 합동정밀조사단을 구성해 조사 중에 있고 환경부는 조사 결과에 맞추어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위생상의 관리 부분에서는 깔따구 등 생물체가 고도정수처리 공정의활성탄지 유입을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미세방충망, 포집기 설치, 활성탄지 방충덮개 설치 등 방충관리를 철저히 할 계획이다.

또 시설적인 문제로 인해 유충이 유출된 것으로 최종 확인되면 전문가들과 논의해 상수도 설계 기준을 개선하고, 운영 부문에서는 고도정수처리 운영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활성탄지의 운영관리 세부 사항을 지자체 등에 전파할 계획이다.

신진수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국민의 수돗물 불신을 해소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이번 수돗물 사태의 확산 방지 및 정상화에 정부 차원의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수돗물 유충’ 사태

- “인천 깔따구 유충, 정수장 활성탄 통해 유출” 최종 결과(속보) - 수돗물 유충 불안감 없앤다…서울시 전문가 조사반 연중 운영 - "수돗물 유충 걱정 없어" 쿠쿠, 샤워헤드 3종 출시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