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부적으로 보면 근로소득은 322만원으로 5.3% 줄면서 2009년 3분기(-0.5%) 이후 11여년만에 감소 전환했다. 금융위기 이후 꾸준히 증가하던 근로소득이 코로나19 충격으로 꺾인 것이다. 감소폭으로는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3년 이후 처음이다.
사업을 통한 소득이나 주택 임대 소득 등 사업소득은 4.6% 줄어든 94만2000원으로 지난해 4분기(-2.2%) 이후 2개분기만에 감소했다. 재산소득은 배당소득과 개인연금소득이 줄면서 11.7% 감소한 3만4000원에 그쳤다.
근로·사업·재산소득이 한꺼번에 감소한 것은 2003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코로나19 여파로 고용시장 환경이 악화돼 취업 인원이 줄고 근로자 가구 비중도 감소하면서 근로소득이 줄었다”며 “6월 산업활동 동향을 보면 자영업황이 부진하고 고용동향에서도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감소해 (사업소득 감소에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이전소득은 98만5000원으로 80.8%나 급증했다. 공적연금·기초연금·사회수혜금 등 공적이전소득은 77만7000원으로 127.9%나 늘었다. 가구간이전(용돈 등)인 사적이전소득은 2.1% 증가한 20만9000원이다.
이전소득 증가폭은 2003년 통계 작성 후 가장 높은 수준인데 2분기 정부의 긴급 재난지원금 지급이 영향을 줬기 때문이다.
정 국장은 “공적이전소득에서 사회수혜금 비중이 64.8% 정도인데 사회수혜금 대부분은 재난지원금이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전국민에게 지급한 재난지원금 효과가 근로·사업·재산소득 감소를 상쇄한 것이다.
가구의 경상소득·비경상소득을 포함한 총소득에서 조세·연금기여금·사회보험 등 비소비지출을 차감한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6.5% 증가한 430만1000원이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차감한 금액으로 저축, 자산 구입, 부채 상환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흑자액은 138만9000원으로 15.5% 늘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인 평균 소비성향은 2.5%포인트 하락한 67.7%다. 해당 수치는 가구의 소비 여력을 나타내는데 재난지원금 등으로 소득은 늘어난 반면 외출 자제 등이 소비에 영향을 줬기 때문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기재부 정책기획과 관계자는 “57만5000개 직접일자리 사업, 긴급고용안정지원금의 차질 없는 집행 등 취약계층을 위한 고용·사회안전망을 지속·강화할 것”이라며 “추경의 신속집행, 내수활력 보완, 한국판 뉴딜 추진 등 시장소득 회복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