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김치硏, R&D 역량 인정…기관운영평가 사상 첫 '우수' 등급

강민구 기자I 2024.06.10 15:10:45

기관 운영 시스템 혁신, 개방형 협력 체계 등 호평
식품연과 통폐합 등 딛고 독자적 연구, 운영 역량 입증
장해춘 소장 "국민에게 신뢰받는 강소 연구소로"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세계김치연구소가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시행한 23개 연구기관 대상 기관운영평가에서 지난 2010년 설립 이래 처음으로 ‘우수’ 등급을 받았다. 한국식품연구원과의 통폐합 이슈를 딛고 독자적인 연구개발(R&D) 역량을 선보이고, 김치 산업계와 학회 등과 협력을 강화하면서 기관이 탈바꿈한 점을 인정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세계김치연구소 연구원들이 김치 R&D에 몰두하고 있다.(사진=세계김치연구소)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관운영평가는 국가과학기술심의회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에 따라 3년마다 받게 돼 있다.

김치연은 지난 2010년 설립 이후 이뤄진 기관운영평가에서 ‘미흡’과 ‘보통’ 등급을 받아 왔다. 한국식품연구원 산하 부설기관으로 시작해 광주로 이전하면서 독자적인 연구소로 설립됐지만 광주라는 지역적 한계, 신생 연구소라는 한계 등이 작용했다.

2019년말부터 한국식품연구원과의 통폐합이 논의되기 시작해 수년간 논의를 거쳐 현행체계를 유지하기로 결론이 났다. 현 장해춘 소장이 부임하기 직전까지 소장 선임이 지연되는 등 어수선한 분위기였다. 하지만 장 소장 취임 이후 진행한 연구개발역량과 개방형 협력체계 구축을 추진하면서 분위기 반전에 성공했다.

김치연은 ‘김치 발효과학 전문 R&D 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 운영 시스템을 마련하고, 지난 2022년부터 2027년까지 6년 동안의 중장기 로드맵을 만들어 이행하며 기관을 정상화했다.

세계김치연구소 전경.(사진=세계김치연구소)
특히 기관 임무(R&R) 중심의 기획·이행 시스템과 기관 차원의 개방형 협력체계 구축, 김치 산업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기술 기반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강화했다. ‘한국통’인 샘 리처드 미국 펜실베니아대 교수 등 6명을 ‘글로벌 김치 앰버서더’로 임명하는 등 김치 과학·문화 글로벌 확산 체계도 구축했다.

고재덕 김치연 사업예산실 실장은 “김치연이 광주에 있다보니 서울이나 대전에 있는 연구소와 달리 홀로 연구한다는 지적을 받았고, 신생 연구소라는 한계도 있었다”라며 “김치산업계 관련 이슈를 먼저 정부의 정책 수립 전반을 지원하는 ‘김치산업 관계기관 협의체’ 주관기관으로 개방형 협력체계를 만들고, 한국식품과학회와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등 학회와 정기적으로 김치 세션을 운영하면서 소통하려고 힘썼던 부분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실제 김치연은 우수한 김치종균 개발과 산업계 보급을 통한 상용화로 수출용 김치의 품질향상 등 김치산업 애로사항을 과학기술로 해결했다. 탄소중립, 산업계 혁신을 위한 원천기술을 개발·적용하고, 목적 중심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저온성 김치유산균에 최적화된 시험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한국인정기구(KOLAS) 공인시험기관(ISO/IEC 17025)으로 인정받기도 했다. 연구지원체계평가 S등급,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제 연구실 안전수준 분야 2년 연속 최고등급 달성 등을 달성했다.

장해춘 소장은 “이번 기관운영평가에서 우수 등급을 획득한 것은 연구소의 혁신을 위해 구성원들이 한마음 한뜻이 되어 노력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우수 연구성과를 꾸준히 창출하여 김치산업 육성·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국가 김치산업의 혁신 거점기관’으로 거듭나고, 국민에게 신뢰받는 강소(强小) 연구소가 되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