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 창동·상계동, 창업·문화산업단지로 탈바꿈한다"

김인경 기자I 2017.01.16 11:23:50

국토부, 서울 창동·상계동 등 18곳 도시재생사업 본격 착수
2021년까지 4조9000억원 규모 도시재생사업 진행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서울 도봉구 창동과 노원구 상계동 일대에 창업지원센터와 문화산업단지가 들어선다. 서울 용산구 해방촌에 문화예술마을이 조성되고 열악한 주거 환경도 개선된다.

국토교통부는 서울과 부산 영도, 강원 춘천 등 전국 18곳의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이 제7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 지원 사항으로 최종 확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들 18개 지역은 2021년까지 국비 8918억원과 기금 1301억원 등 총 1조200억원을 지원받게 된다. 여기에 지방비(1조3000억원)와 민간자본(2조5600억원)까지 더해져 총 4조9000억원 규모의 도시 재생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서울 창동·상계동과 대구 서·북구는 도시경제기반형 재생사업을, 서울 용산과 부산 영도와 울산 중구 등 15개 곳은 근린재생형 사업을 추진한다.

서울 북부 끝자락인 도봉구 창동과 노원구 상계동 주변의 면허시험장 이전부지와 환승주차장 부지에는 연구개발(R&D)에 특화된 창업 지원센터가 들어서고 문화시설도 조성할 계획이다. 이곳은 산업기반보다 주공아파트 등 서민층 주택이 많은 베드타운이었지만 이번 국가 지원이 이뤄지면 서울 동북부 경제중심지로 거듭날 전망이다.

‘해방촌’으로 알려진 서울 용산구 용산2가동에는 문화예술마을이 조성된다. 이 지역은 건축 제한 등으로 시설 개발이 낙후된 곳이다.

서울 창동 및 상계동 활성화계획 종합구상도(자료:국토교통부)
대구 서구 비산 5·7동과 북구의 침산 1동 9300㎡도 도시계획활성화 사업에 포함됐다. 이 지역은 제조업 경쟁력이 약화하며 쇠퇴했지만 최근 서대구 KTX 건립과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이 본격화하면서 발전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판단이다. 국토부는 이 지역에 미래 비즈니스발전소와 기술 창조발전소, 안경산업 클러스트 등을 구축해 창조산업단지로 육성하기로 했다.

대구 서구와 북구 활성화 계획 종합구상도(자료:국토교통부)
또 부산 영도구는 시청과 상권의 이동으로 쇠퇴한 봉래동을 ‘문화·기술 융합’중심지로 활성화한다. 울산 중구는 중심 시가지인 중앙동을 지역 인재 기반 창조경제 구축사업지역으로, 충북 충주시는 공공시설 이전으로 쇠퇴한 성서동을 청년가게와 창업 중심지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전북 전주시는 풍남동의 역사문화자산을 활용해 재생사업을, 경북 안동시는 중구동에 ‘안동웅부(安東雄府·고려 공민왕이 이곳에 머무르며 영남의 으뜸가는 곳이라 표현)’ 재창조 활성화 사업을 각각 추진한다.

경남 김해시는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며 쇠퇴한 동상동을 가야 역사문화 중심지로 활성화한다. 서울 용산구 역시 건축 제한 등으로 발전하지 못한 용산2가동에 ‘문화예술마을’을 조성하고 청년 창업을 위한 창의공간을 만들 전망이다. 서울 구로구 가리봉동은 ‘G-밸리(서울디지털 산업단지) 배후지역’의 잠재력을 이용해 도시를 활성화한다.

이 외에도 부산 중구 보수동, 부산 서구 아미동, 부산 강서구 대저1동, 인천 강화구 강화읍, 경기 부천시 소사본동, 강원춘천시 근화동, 전남 나주시 근남동, 충북 청주시 구 연초제조창 부지 등이 도시 재생사업의 대상으로 선정됐다.

손태락 국토부 국토도시실장은 “계획에 맞춰 사업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할 것”이라며 “이번 특위에 상정되지 못한 2차 도시재생지구 16곳도 올 상반기 중 계획을 수립해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