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가격인상' 시멘트社, 물량 감소에도 수익성 개선

노희준 기자I 2024.05.17 16:45:26

한일·쌍용·성신·아세아·삼표·현대 6개사
1Q 영업익 1379억...전년비 371%↑, 매출 유사
작년 하반기 가격 인상, 유연탄 가격 안정
수요 감소·전기료 인상 우려 위험 요인

[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국내 시멘트회사들이 비수기인 1분기(1~3월)에도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다. 판매 물량이 줄었지만 지난해 하반기 제품 가격을 올린 덕분으로 풀이된다. 원가를 구성하는 유연탄 가격이 상대적으로 안정화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부동산 착공 물량 감소와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은 주의해야 할 리스크 요인이다.

(자료=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단위=억원 매출(좌), 영업이익(우)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분기 한일시멘트(300720), 쌍용씨앤이(쌍용C&E), 성신양회(004980), 아세아시멘트(183190), 삼표시멘트(038500), 현대시멘트 등 6개사의 영업이익은 1379억원으로 전년 동기 293억원보다 371%(4.7배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조6309억원으로 0.1% 늘어 거의 비슷했다.

한일시멘트와 아세아시멘트, 삼표시멘트가 모두 영업이익이 2배로 커졌다. 한일시멘트는 1분기 영업이익이 555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보다 103% 증가했다. 아세아시멘트와 삼표시멘트도 각각 1년 새 106%와 120% 급증한 326억원과 176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쌍용C&E와 성신양회는 각각 102억원과 163억원의 영업이익으로 전년 동기에 견줘 흑자로 돌아섰다.

시멘트 회사 수익성 개선은 제품 가격 인상과 원가 절감이 맞물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복수의 시멘트 업계 관계자들은 “(판매) 물량이 10% 정도 줄어든 상황이지만, 지난해 하반기 단가를 인상한 데다 시멘트 연료인 유연탄 가격도 조금 낮아졌다”고 말했다. 시멘트업계는 지난해 하반기 포틀랜드 벌크 시멘트 단가를 t당 7% 수준으로 올렸다.

(자료=업계) 단위=달러
석탄중개업체 글로벌콜에 따르면 유연탄 가격은 국내 시멘트 공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호주 뉴캐슬탄 기준으로 지난해 1월 t당 357달러에서 지난 3월 129달러로 전반적으로 낮아졌다. 일각에서는 1분기가 시멘트 산업 비수기라 한 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낮은 만큼 일부 실적 변화에도 변동성이 크다는 지적도 있다.

문제는 앞으로다. 판매 물량 자체가 줄어들 우려가 큰 게 가장 큰 위험요인이다. 시멘트 업계 한 관계자는 “분양가와 공사비를 둘러싼 마찰과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 문제 등으로 물량이 점점 더 안 좋아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3월 전국의 전체주택 착공 건수는 4만5539호로 전년 동기 대비 20.6% 감소했다. 인허가건 역시 7만4558호로 같은 기간 22.8% 줄었다.

시멘트 제조 원가의 30%가량을 차지하는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도 주목해야 할 요소다. 전기요금이 인상되면 원가 부담이 높아져 시멘트 회사 수익성이 악화된다. 최근 4월 총선까지 억누른 전기료 등의 인상 논의가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지난해까지 누적된 한적 적자는 43조원에 이른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