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잦은 고장에 노후화까지 산불진화 체계 총체적 위기

박진환 기자I 2023.10.04 12:35:25

작년 산림헬기 가동률 66.8% 그쳐…국산 수리온도 결함 4번
신정훈 의원 “기체 결함 문제 심화…헬기 교체와 점검 필수”

러시아산 카모프(KA-32) 헬기가 산불진화를 위해 물을 담고 있다. (사진=산림청 제공)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산불진화헬기의 기체결함과 노후화 등으로 우리나라 산불진화 체계가 위기에 직면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신정훈 의원(전남 나주·화순)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산불피해가 가장 컸던 지난해의 산림헬기 가동률은 66.8%에 그쳤다. 지난해 산림헬기 총 48대 중 3대(러시아산 KA-32 기종)는 10년 점검 기간으로 산불 진화에 투입될 수 없었고, 26대도 기체 결함으로 수시로 작전 수행이 불가능한 상태였던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KA-32 612호기는 상·하부 회전 날개 충돌 손상으로 7개월 가량 산불 진화 업무를 수행하지 못했다. 국비 205억을 들여 2018년에 도입한 유일한 국산 산림헬기인 ‘수리온(KUH-1FS)’는 지난해 4번이나 서로 다른 원인으로 결함이 발생했다. 산불진화헬기의 노후화도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해 산림헬기 48대 중 31대(64.6%)는 20년을 초과한 경년(機齡) 항공기였다. 신 의원은 “최근 산불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 상황에서 산림헬기 노후화와 기체 결함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며 “산불 진화 작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산림헬기의 교체와 점검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