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연체율 비상' 저축은행, 대출 문턱 더 높였다…27개월만 최저치

송주오 기자I 2024.05.17 16:43:47

3월말 여신잔액 101.4조…2021년 12월 이후 최저
연체율 가파른 상승세 지속…1분기 9% 육박 관측
신용평점 600점 이하 대출, 23곳→13곳 감소
"저축은행 수익성 저하 지속…2011년 사태로 이어지진 않을 것"

[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저축은행업계가 건전성 관리를 위해 대출 문턱을 더 높였다. 올해 1분기 대출잔액이 101조원가량으로 27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저축은행업계의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사진=연합뉴스
17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상호저축은행 여신잔액은 1분기 말 기준 101조3777억원으로 집계됐다. 저축은행업계의 대출잔액은 지난해 1월 115조6003억원을 기록한 이후 14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지난 3월 말 여신잔액은 2021년 12월(100조5883억원) 이후 27개월 만에 최저치다.

앞서 저축은행업계는 지난해 5600억원대의 순손실을 기록하며 9년 만에 적자로 돌아선 바 있다. 고금리 수신 유치 경쟁에 따른 이자비용 부담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대손충당금 적립 때문이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시나리오 테스트 결과 저축은행 업권 전체의 부동산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 예상손실 규모를 2조6000억~4조8000억원으로 추정했다. 저축은행 업권에서 추가로 적립해야 할 충당금 규모는 1조~3조3000억원으로 추산했다. 업권의 순손실 규모는 지난해 5633억원에서 올해 최대 2조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저축은행업계는 건전성 관리에 비상인 상황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저축은행 연체율은 약 8.80% 수준으로 전해졌다. 저축은행업계의 연체율은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연체율 추이를 살펴보면 2021년 2.51%, 2022년 3.41%를 기록한 뒤 지난해 6.55%로 튀었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업계는 대출 문턱을 높여 신규 대출을 줄여가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3억원 이상 신용대출을 취급한 저축은행 30곳 중 신용평점이 600점 이하인 저신용자에게 대출을 내준 곳은 13곳에 그쳤다. 1년 전에는 33곳 중 23곳이 600점 이하 저신용자에게 대출을 실행했다.

아울러 부실채권 정리에 적극 나서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는 이달 말 10여개 저축은행이 모은 약 1500억원 규모 개인 무담보 부실채권 매각을 위한 본입찰을 진행한다. 우리금융F&I가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했다. 우리금융F&I는 지난해 12월에도 12개 저축은행이 모은 1000억원대 부실채권을 매입한 바 있다. 또한 2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에 매각하기로 했다.

지형삼 나이스신용평가 책임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저축은행은 당분간 저하된 수익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여신 관련 부담요인 확대 여부에 따라 회사별 재무안정성이 차별화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도 “저축은행의 강화된 자본완충력 등을 고려할 때 2011년 저축은행 사태와 같은 위기까지로는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