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기준금리 1% 인상 시 금융권 부실대출 9.4조원 증가"

김경은 기자I 2014.11.27 14:02:14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기준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경우 금융권 기업부문 부실대출이 9조 4000억원 증가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은 27일 ‘최근 기업부문 건전성과 금융 안정성에 대한 시사점’이라는 주제의 보고서를 내고 “금리상승에 따른 신규 부실 기업 및 신규 부실대출 발생 스트레스 테스트(stress test) 결과 기준금리가 100bp(1bp=0.01%) 오를 경우 부실 대출 규모가 9조 368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분석 대상 기업수는 2014년 상장기업(금융·보험 제외) 1759개사 및 2009~2014년 퇴출기업 79개사다.

▲금리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출처: 한국금융연구원, 2013년 말 기준)
이지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은행원화대출잔액 1183조원 중 57%인 671조원이 기업여신으로 기업부문의 재무 건전성은 금융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국내 기업들의 최근 3년간 수익성 악화로 기업부문 부실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13년 말 기준 최근 3년 하위 30% 기업의 이자보상비율은 179%에서 97%로 부실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10%는 2010년 마이너스(-) 112%에서 2013년 - 378%로 더욱 심각했다. 국내기업(상장기업 및 퇴출기업) 전체의 가중평균 이자보상비율은 451%로 일본(1466%), 미국(721%), 영국(498%)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이자보상비율은 기업이 영업으로 벌어들인 영업이익을 지급이자 비용으로 나눠 산출한 값으로, 이자보상비율이 100%면 기업이 벌어들인 돈으로 금융이자비용을 내고 나면 남는 게 없다는 말이된다.

이어 이 연구위원은 “부실기업과 우량기업의 수익성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부실기업의 부채쏠림 현상도 더욱 심화됐다”며 “글로벌 금융위기(2007년)때보다도 부채쏠림 현상은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언급했다.

다만 여러 기업의 구조조정과 은행의 대출 관리 등으로 기업들이 부채를 감축하기 위한 노력을 벌인 결과 부채비율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말 기준 국내기업의 가중평균 부채비율은 155%로 기준치(200%)를 하회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채 쏠림으로 부채비율이 높은 상위 30% 부실기업들이 총부채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집중위험이 높아 금융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3년 이상 부실이 지속되는 만성 부실기업의 부채가 총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0.7%에서 5.3%로 8배나 증가했다. 특히 총단기 부채에서 부실기업의 단기부채 비중이 1.3%에서 7.8%로 급증해 단기유동성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부실기업의 부도위험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연구위원은 “부도확률 상위 30%의 부도확률은 2011년 0.72%에서 2014년 1.29%로 악화됐다”며 “분석 대상을 상장기업이 아닌 국내 전체 기업으로 확대할 경우 우리나라 기업들의 부도확률은 더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업종 분포별로는 3년연속 이자보상비율이 100%를 하회하는 부실기업의 비중이 유사해 특정업종의 쏠림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이 전분야에 골고루 분포돼있다는 설명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