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농촌에 살으리랏다” 체험형 귀농·귀촌 프로그램 늘린다

이명철 기자I 2021.01.12 11:24:54

농식품부, 귀농·귀촌예산 342억…전년比 68.5%↑
영농교육·박람회 중심서 일자리정보·체험으로 전환
농촌 살아보기, 일자리 탐색형 교육 등 지원 확대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최근 주춤한 모습을 보이던 귀농·귀촌 수요가 코로나19발(發) 경기 침체를 맞아 늘어날 조짐이다. 정부는 올해 300억원대 예산을 투입해 농촌 살아보기 등 체험 프로그램과 생활·일자리 정보 제공을 늘려 농촌 안착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지난해 5월 22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2020 귀농귀촌 청년창업 박람회’에서 참가자들이 전시장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 영향, 도시민 귀농·귀촌 관심 ‘쑥’

농림축산식품부는 코로나19 영향으로 높아진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을 반영해 관련 정책을 전면 전환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올해 귀농귀촌 예산은 전년대비 68.5%(139억원) 늘어난 342억원을 편성하고 중점 과제를 추진한다.

귀농·귀촌 인구는 2017년(51만6817명) 처음 50만명을 돌파한 후 2019년 46만여명으로 감소세를 나타내는 추세다. 하지만 베이비붐 세대의 본격 은퇴와 코로나19 영향으로 농촌 등 저밀도 사회에 대한 도시민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는 판단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해 실시한 농업·농촌 국민의식조사에 따르면 은퇴 후 귀농·귀촌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도시민은 41.4%로 전년대비 6.8%포인트 증가했다.

농식품부는 영농기술 교육 같은 귀농 중심에서 주거 이전에 보탬이 될 일자리 교육·정보 등 귀촌 위주로 정책을 전환키로 했다. 지원 방식도 교육이나 박람회 등이 아닌 실제 관심지역의 장기 거주 등 생활 중심으로 바꾼다.

우선 귀농·귀촌 전 농촌에 장기 거주하며 일자리·생활을 체험할 수 있는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전체 89개 시·군에서 약 500가구 대상으로 최장 6개월 주거(농촌체험마을·귀농인의집 등)·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월 30만원의 연수비를 지급할 예정이다.

주요 대상은 청년 구직자, 40대 이직 희망자, 5060 은퇴 예정자로 설정했다. 귀농형은 지역 주요 작물 재배 기술, 농기계 사용법 등 영농 체험활동을 지원한다. 귀촌형은 농촌이해, 주민교류, 지역탐색 등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청년구직자 대상으로는 사회적 경제조직과 협력해 다양한 농촌 일자리나 활동을 경험할 프로젝트참여형을 가동할 계획이다. 실제 전남 곡성 지역에서는 농촌사회조직이 도시청년으로 ‘청춘작당’이라는 팀을 구성해 체험마을 프로그램 개발 등을 진행하기도 했다.

귀농·귀촌 수요자를 위한 귀농·귀촌 홈페이지는 수요자 중심으로 개편한다. 메인 화면은 관심 지역의 정보 제공 서비스로 구성하고 귀농·귀촌 유치 사업 참여 지자체 등 중심으로 콘텐츠 생산·게시를 유도할 계획이다.

지난해 시범 운영한 맞춤형 지역정보 제공 서비스는 4개 지자체에서 89개로 확대한다. 귀농·귀촌 희망자가 간단히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시·군 관심 자료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현재 가입회원 1만3000명이 대상이며 올해 단체 회원가입을 추진할 예정이다.

2021년 귀농·귀촌 지원 사업. (이미지=농림축산식품부)
2022년부터 제2차 종합계획 마련 추진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업 분야 구직자 증가에 대비해 농업일자리 탐색형 귀농·귀촌 교육 과정을 확대한다.

농식품부가 지난해 실시한 2주 과정 일자리 체험 과정에는 600명 모집에 1149명이 신청하며 호응을 나타냈다. 올해는 2주 과정 규모를 1200명으로 늘리는 등 일자리 탐색형 귀농·귀촌 교육 과정을 전년대비 110%(3200명) 증가한 총 6000명 모집한다.

2017~2021년 마련한 제1차 귀농·귀촌 지원 종합계획이 마무리됨에 따라 제2차(2022~2026년) 종합계획 수립에도 나선다.

2차에는 범정부 협력 거버넌스와 귀촌 지원 정책 강화 중심으로 마련한다. 오는 4월부터 학계·언론계·현장활동가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포럼과 정부부처간 협의체를 운영하고 신규 정책을 발굴할 방침이다.

김정희 농식품부 농업정책국장은 “코로나19 등 영향으로 귀농·귀촌에 대한 도시민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며 “농촌 이주 실행과 지역 안착으로 이어지도록 촘촘하게 정책·제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