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중기부, 기업리스크 대응 전략 마련…모니터링 강화도 추진

함지현 기자I 2022.09.07 13:30:00

복합위기 선제 대응 위한 '기업리스크 대응 TF' 전체회의
분야별 논의 종합…중소·벤처·소상공인 회복 탄력성↑
중소기업 속보성 통계지표 대시보드 구축 등도

[이데일리 함지현 기자] 중소벤처기업부는 복합위기 선제 대응·모니터링을 통해 중소·벤처·소상공인의 회복 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복합위기 대비 기업리스크 대응 전략’을 마련했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조주현 중기부 차관은 7일 서울 여의도 한국평가데이터(K0DATA) 강당에서 ‘기업리스크 대응 TF 8차 회의’를 개최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이번 회의에서는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이 중소기업 속보성 통계지표 대시보드(Dash Board)를 시현하고, 한국평가데이터는 조기경보 지수(Early Warning Index)를 통한 산업위기 예측 필요성에 대해 발제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중소기업 동향·리스크 관련 속보성 통계지표의 중요성에 공감했다. 한국평가데이터가 구축한 조기경보 지수의 효과성과 정책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이어서, 중기부는 복합위기 대비 기업리스크 대응 전략을 발표했다.

복합위기로 인한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의 정책 수요를 기민하게 파악하고, 향후 리스크 관리 관점에서 △리스크 식별(Identify) △진단·평가(Assess) △대응·관리(Control) △모니터링(Monitor)해 나가기 위한 전략이다.

먼저, 리스크 식별 및 진단·평가 단계에서는 코로나19에 대응한 완화적 통화정책이 전세계적인 고물가 상황을 일으키고, 미국을 중심으로 금리 인상과 이에 따른 달러 강세의 상황이 우리 중소기업·소상공인 회복·도약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저성장과 양극화의 우려를 낳고 있음을 분석했다.

다음으로, 리스크 대응·관리 및 모니터링 단계에서는, 중소기업, 벤처·창업, 소상공인 분야별 추진전략과 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체계를 마련한다.

단기과제로는 다음달 말 만기연장·상환유예 종료 가능성을 대비한 중소기업 금융 리스크 관리 및 수출·물류 대응, 벤처투자 활성화, 소상공인·내수 회복 및 생업안전망 강화를 위한 정책 대응이 시급하다는 판단이다.

중장기 과제로는 제조·지역 혁신 촉진을 통한 생산성 향상, 사업 전환 유도와 규제자유특구 개선을 통한 역동성 제고, 납품대금 연동제 안착, 자발적 협약 등을 통한 상생협력 촉진이 요구된다.

데이터 기반 구축과 관련해서는 중소기업 속보성 통계지표 대시보드를 다음 달부터 공개·운영하고, 조기경보 체계 구축을 통한 지역 위기징후 모니터링 강화와 벤처기업 경기전망을 파악할 계획이다.

향후 중소벤처기업부는 10대 주요 정책 등을 통해 기업리스크 대응 전략을 지속적으로 구체화해 나가고, 어려움이 예상되는 중소기업·소상공인 분야에 대한 선제적 점검과 진단, 현장애로 과제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차질없이 이행해나갈 계획이다.

조 차관은 “우리 기업들이 안정적인 경영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중기부와 유관기관들은 각별한 경각심과 긴장감을 가지고, 중소·벤처·소상공인 분야 리스크 관리에 총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