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건산연 “오피스텔, 1인 가구 주거정책 수단삼아야”

신수정 기자I 2022.03.03 11:22:47

오피스텔 100만호 시대, 성과와 과제 발간
1인 가구 비중 73.4%, 40대 이하 비중 77.4%
주거 만족도 아파트보다도 소폭 높아

[이데일리 신수정 기자] 오피스텔 100만실 시대를 맞아 오피스텔을 1인 가구를 위한 주거정책 수단으로 활용 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오피스텔의 도시철도 접근성. (사진=건산연)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3일 ‘오피스텔 100만실 시대, 성과와 과제’ 보고서에서 “오피스텔은 젊은 1인 가구의 수요에 대응하며 성장했고 민간임대주택으로의 기능도 해 왔다”며 “코로나19 팬데믹 상황과 급증하는 1인 가구에 대한 대응을 위해 오피스텔의 기능을 재인식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으로 전국의 총 오피스텔 물량은 94만 2000실로 100만실에 육박했다. 특히 오피스텔의 다수가 수도권에 공급됐고 주거용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분석된다. 게다가 대부분 상업지에 입지하고 지하철역과 3㎞ 이내로 양호한 인프라를 갖춘 지역에 입지해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최근 오피스텔 공급 물량이 증가해 연간 공급 물량이 아파트 대비 20%에 이르며 시장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해 민간임대주택으로 등록된 오피스텔의 비중은 40% 가량으로 추정돼 높은 수준이다. 이들 오피스텔이 1∼2인 가구 수요를 위한 민간임대주택으로의 역할을 해왔다는 게 연구원의 평가다.

허윤경 연구위원은 “2020년 주거실태조사 기준으로 오피스텔 거주 가구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1인 가구 비중이 73.4%, 40대 이하 비중은 77.4%에 달했다”며 “이는 1인 가구와 젊은 계층의 오피스텔 선호도가 높다는 방증”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1인 가구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변화하는 공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오피스텔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공공부문은 도심지에 지불 가능한 오피스텔 재고를 확보해 다양한 방식으로 임차인을 지원하고, 또 공유주택 모델을 활용해 오피스텔을 고용·의료·주거 등 1인 가구 문제 해결의 플랫폼으로 활용할 만하다고 제언했다.

허 연구위원은 “미래 공간 이용에 대한 종합적 검토 이후 오피스텔을 포함하여 혼합 용도의 법령상 위상을 재설정하고 이에 맞는 규제 질서를 정의해야 한다”며 “오피스텔은 공공과 민간의 공급자, 임차자 모두가 윈윈(WIN-WIN)할 수 있는 모델로 성숙시켜 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 연구위원은 “계획부터 향후 운영까지 프로젝트 전(全) 기간에 걸쳐 민간임대사업이 작동할 수 있는 종합적 구도를 만들어야 민간의 자율적인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