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부 "2분기 성장부진은 수출 때문…3분기 경기반등 모멘텀 기회"

이진철 기자I 2020.07.23 11:32:29

경제중대본 '2분기 경제상황 평가 및 대응방향' 발표
2분기 성장기여도, 내수 +0.7%p 순수출 -4.1%p
3분기 경기 반등폭 관건, 정책수단 총동원 뒷받침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기재부 제공
[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정부는 2분기 성장 부진이 내수 회복에도 코로나19의 글로벌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수출의 급격한 감소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코로나19가 진정되면서 경제활동이 점차 정상화되는 3분기를 경기반등 모멘텀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기획재정부는 23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주재로 열린 1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2분기 경제상황 평가 및 대응방향’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한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코로나19 충격이 본격 반영되면서 전분기 대비로는 -3.3%를 나타냈고, 전년동기 대비로는 -2.9%의 역성장을 기록했다.

기재부는 “2분기 성장 부진은 수출의 급격한 감소에 기인한다”며 “순수출의 성장 기여 폭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충격을 상회했다”고 밝혔다. 2분기 순수출의 성장기여도는 -4.1%포인트로 2009년 2분기(-3.5%포인트) 이후 11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순수출이 한국의 성장률을 4%포인트 넘게 위축시킨 셈이다. 반면 2분기 내수의 성장기여도는 0.7%포인트로 나타났다.

기재부 제공
기재부는 “내수는 2분기에는 성장에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했으나 수출은 극심한 세계 경제 침체 영향에 예상보다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생산 측면에서는 제조업, 서비스업, 건설업이 동반 감소했다. 수출부진에 운송장비 등 제조업 생산이 줄었고, 서비스업은 소비자들이 외출을 줄이고 방한 외국인도 급감하며 감소세를 이어갔다. 건설업도 조정국면에 머무르고 있다.

기재부는 “2분기는 전세계적으로 코로나 사태와 그에 따른 주요국 봉쇄조치 등이 극심해지면서 어려움이 컸던 시기였다”면서 “국제기구 및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선진국 대부분 2분기에 두 자릿수 이상의 역성장을 전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경제의 2분기 성장률은 주요 IB 전망치 평균 기준으로 전기비 및 전년동기비 모두 1위로 주요 선진국 대비 경제적 피해 최소화를 예상했다”고 덧붙였다.

기재부는 “추가경정예산, 한국판 뉴딜 등 정책효과와 2분기에 성장을 제약한 요인이 해소되고, 기저효과가 더해질 경우 코로나19가 진정되는 3분기에는 중국과 유사한 경로로 상당 부분 경기 반등도 가능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2분기 바닥을 찍고 3분기 경기반등을 전망하는 근거로는 5월 이후 신용카드 매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7월 들어 일평균 수출 부진도 완화되는 조짐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최근 해외생산기지 가동이 재개되는 가운데, 학교·병원 등을 통한 경제활동도 점차 정상화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기재부 제공
기재부는 3분기에는 철저한 방역 및 강력한 정책대응 노력을 통해 경기반등의 모멘텀으로 살려나가는 것이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3차 추경 주요사업을 3개월내 75%이상 집행, 경기회복을 뒷받침한다는 방침이다.

투자부문에서는 풍부한 시중 유동성을 생산적 분야에 적극 활용하기 위해 한국판 뉴딜 사업 등 민간투자 활성화 방안을 신속하게 추진한다. 혁신기업 성장 금융지원 방안,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제한적 보유 허용 등 벤처창업 활성화 방안도 마련해 추진할 방침이다.

소비부문은 8월17일 임시공휴일을 계기로 소비·관광 등 패키지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소비 진작을 위한 8대 할인 소비쿠폰도 본격 집행한다. 추석 연휴(10월), 코리아세일 페스타(11월), 겨울 축제 등을 계기로 한 내수촉진 릴레이 전략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수출부문은 무역금융 확충 등 수출금융, 비대면 수출 및 물류비 지원 등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추가 지원방안을 강구할 방침이다.

김용범 기재부 1차관은 이날 경제 중대본 브리핑에서 “전방위적 리스크 관리와 함께 하반기 경기반등을 적극 뒷받침하기 위해 가용한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나가겠다”면서 “경기회복의 기본 전제인 철저한 방역 대응과 함께 미·중 갈등, 대외신인도·금융·통상 등 대내외 리스크 요인에 대한 대응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기재부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