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김경훈 시의원 “전기차 충전소 화재진압시설 규정 無…대형 참사 우려에 불안 가중”

이성기 기자I 2022.11.10 11:20:16

서울시의회 환수위 행정사무감사 기후환경본부 대상 질의
“지하 충전소 화재 위험 훨씬 높아, 관련 규정 마련 시급”

[이데일리 이성기 기자] 서울시 전기차 충전소와 관련, 화재진압시설 설치 규정이 없어 시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0일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환경수자원위원회 소속 김경훈 국민의힘 시의원은 최근 열린 제315회 정례회 환수위 행정사무감사 질의에서 “서울시 전기차 충전소와 관련된 화재진압시설 설치 규정을 조속히 마련해 대형 참사 우려로부터 시민의 안전을 지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소속 김경훈 국민의힘 시의원. (사진=김경훈 의원실)


서울시가 제출한 `전기차 충전소 및 화재진압시설 설치 현황`에 따르면, 현재 전기차 충전 중이나 주차 중 발생할 수 있는 화재와 관련해 별도 의무 규정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기차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전기차 충전소도 함께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사실상 화재에 대한 아무런 대책이 없는 셈이다.

전기차 리튬 배터리 제조 기술은 아직 안정성 부분에서 완벽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충전 중 과열로 배터리 열분해가 시작되면 내부 온도가 1000도를 웃도는 `열폭주`가 진행되고, 차량 전체로 화재가 번질 위험을 안고 있다.

김 의원은 “더 심각하게 짚어볼 점은 대부분의 전기차 충전소가 지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라며 “아파트나 대형마트 등 사람이 밀집한 건물의 지하 충전소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주변 차량이나 적재된 물건으로 불이 옮겨붙어 자칫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하 충전소의 경우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진압하기 위한 특수 설비의 통행이 거의 불가능하고 소방차 진입도 어렵다”면서 “이러한 상황을 서울시가 인지하고 있음에도 아직 충전소 화재와 관련한 진압시설 설치 의무 규정이 없다는 것은 직무유기나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한편, 현재 서울시 전체 전기차 충전소 중 지하 충전소는 3만 1694개, 지상 충전소는 2438개로 지하에 위치한 충전소가 지상보다 13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충전 중 화재 발생 원인이 충전기 문제인지 차량 배터리 자체의 문제인지 파악조차 안 되는 불분명한 상황에서 무분별하게 충전기를 보급하고 충전소를 설치하는 것부터 지양해야 한다”며 “특히 지하 충전소의 경우 화재 안전 방안을 강화하기 위한 대비책을 미리 세워야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